피망 슬롯 환전 반염불 ()

목차
국악
작품
삼현육각(三絃六角)으로 연주하는 무용반주 음악.
이칭
이칭
자진염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피망 슬롯 환전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현육각(三絃六角)으로 연주하는 무용반주 음악.
내용

긴염불을 빠르게 변주한 곡으로, 일명 자진염불이라 부른다. 피망 슬롯 환전에서 반이란 말은 반굿거리·반덩덕궁이의 경우와 같이 본 음악보다 빠른 음악이란 뜻이다.

피망 슬롯 환전은 경기 북부 무의식(巫儀式)의 무용음악으로 쓰이며, 승무(僧舞)에서 먼저 긴염불 춤을 추고 잠깐 북을 어를 때 피망 슬롯 환전이 반주음악으로 쓰인다.

악기편성은 북·장구·목피리·곁피리·젓대(대금)·해금으로 삼현육각 편성이 원칙이나, 요즈음은 북과 곁피리를 빼고 아쟁과 가야금을 넣는 경우가 많다. 장단은 3소박 보통 빠르기의 6박자, 즉 8분음 18박자로 도드리장단에 맞는다.

음악형식은 긴염불의 경우와 같이 3장으로 되어 있고, 각 장마다 2장단씩 되어 있어서 모두 6장단이 되는데, 제2장 첫 장단부터 연주한다. 긴염불의 경우에는 ‘쇠는장’이라 하여 높은 음역으로 변주하는 부분이 보이나 피망 슬롯 환전에는 ‘쇠는장’이 없다. 선율은 경토리(京畿民謠調)에 가까우며 매우 꿋꿋한 느낌을 준다.

참고문헌

『삼현육각』(피망 슬롯 환전재관리국, 피망 슬롯 환전재연구소, 1984)
『국악개론』(장사훈·한만영, 피망 슬롯 환전국악학회,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피망 슬롯 환전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