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경구(景久), 호는 회와(悔窩)·일우(一愚)·송담(松潭). 아버지는 부승지(副承旨) 박세성(朴世城)이다.
1689년(숙종 15)에 진사가 되고, 같은 해 기사환국으로 인현왕후(仁顯王后)가 폐위되자 성균관 유생들을 이끌고 이를 적극 반대하였다.
1697년 휘릉참봉(徽陵參奉)을 거쳐 부평현감(富平縣監)·황주목사(黃州牧使) 에그 벳 슬롯 역임하였다. 특히, 1704년 부평에 있는 민진표(閔震標)의 땅을 강제로 빼앗아 자기 처의 장지(葬地)로 삼고, 이를 반대하는 민진표를 협박하여 자결하게 하였다는 이유로 탄핵당하였다. 1721년 합천군수(陜川郡守)로 나아가 다음 해 죽었다.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반남박씨오세유고(潘南朴氏五世遺稿)』인 시문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