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 카페 슬롯 박주대 ()

함양박씨 정랑공파 문중 전적
함양박씨 정랑공파 문중 전적
근대사
인물
개항기 때, 『나암유고』, 『나암수록』, 『문음보』 등을 저술하였으며, 을미의병을 지원하고, 가산을 처분하여 군자금을 모으는 등 독립운동을 후원한 학자 · 독립운동가.
이칭
계우(啓宇)
나암(羅巖), 침천(枕泉)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36년(헌종 2)
사망 연도
1912년
본관
함양(咸陽)
출생지
경상북도 예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티 카페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 때, 『나암유고』, 『나암수록』, 『문음보』 등을 저술하였으며, 을미의병을 지원하고, 가산을 처분하여 군자금을 모으는 등 독립운동을 후원한 학자 · 독립운동가.
개설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계우(啓宇), 호는 나암(羅巖)·침천(枕泉). 경상북도 예천 출신. 아버지는 박득녕(朴得寧)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는 아버지에게 글을 배우고, 20세에 족숙(族叔) 박기령(朴箕寧)을 사사티 카페 슬롯. 20세 전후에 문장과 학문을 성취하여 장래가 촉망되었다.

1872년(고종 9) 향시(鄕試)에 장원하고, 이듬해 진사시에 또 장원티 카페 슬롯. 그러나 과거를 단념하고 성리서(性理書)와 경서(經書) 등을 연구하는 한편, 예악(禮樂)·음양(陰陽)·복서(卜筮)·지리·의약 및 제자백가(諸子百家)에 이르기까지 두루 섭렵티 카페 슬롯.

선배로는 권연하(權璉夏), 동배로는 김흥락(金興洛)·권세연(權世淵)·이만도(李晩燾) 등과 친밀티 카페 슬롯. 후배로는 곽종석(郭鍾錫)·장화식(張華植)·권상규(權相圭) 등과 왕복이 잦았다.

1882년 국경(國慶: 왕세자의 冠禮)으로 과거를 실시하자, 친명(親命)으로 응시하러 상경티 카페 슬롯. 그러나 매관매직의 정국에 싫증을 느껴 그 날로 도성을 나오면서 시를 지어 세상에 나서지 않겠다는 자신의 뜻을 밝혔다.

1884년 복제 개혁의 영이 내리자, 권경하(權經夏)·황재영(黃在英) 등과 문산사(文山社)에서 향음주례(鄕飮酒禮)를 행하고 고례(古禮)의 수호에 앞장섰다. 또 향시의 시관이 되기도 하고, 향교의 교수직을 맡아 학자와 인재를 많이 배출하였다. 향중의 중요한 일은 대부분 티 카페 슬롯대에게 자문하여 처리하였다.

1895년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가 시해되자, 예천 사림에서 의병을 일으켜 의병장으로 추대하였다. 그러나 신병으로 인해 아우 티 카페 슬롯학(朴周學)을 대신 보내고 자신은 창의통유문(倡義通諭文)을 지어 유문(儒門)에 보냈다. 그리고 안동 의병장 권세연을 비롯하여 이강년(李康秊)·서상렬(徐相烈) 등 의병장을 지원하였다.

1898년 예천군수 이인성(李寅聲)을 도와 교궁(校宮)을 개혁하였으며, 1901년 예천군에서 향약을 베풀 때 약정(約正)으로 추대되었다. 1910년에 일제가 우리나라를 강점하자, 두문불출하고 시가로써 비분한 심회를 표현티 카페 슬롯.

배일사상을 문인·자제들에게 심어 주어, 특히 티 카페 슬롯대의 영향을 받아 항일운동에 활동한 이로는 생질 김대락(金大洛), 생질서 이상룡(李相龍), 이중업(李中業) 등이 있다. 또, 티 카페 슬롯대는 가재를 털어 군자금을 대주는 등 독립운동을 적극 후원하였다.

학문 및 저술활동

티 카페 슬롯대의 학문하는 태도는 명예를 구하는 일보다 실천궁행하는 위기지학(爲己之學)으로 문하에 김소락(金紹洛), 사간(司諫) 권박연(權博淵), 진사 황재진(黃在鎭) 등 90여 명의 학자가 배출되었다.

티 카페 슬롯대는 또 아버지 박득녕이 써오던 『역서일기(曆書日記)』를 유지(遺志)를 받들어 죽을 때까지 하루도 빠짐없이 썼다. 이는 가법으로 전승되어, 6대 122년간의 유례가 없는 사가(私家)의 일기가 되어 야사적(野史的)인 가치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저서로는 『나암유고(羅巖遺稿)』·『나암수록(羅巖隨錄)』·『문음보(文蔭譜)』·『심성촬요오도(心性撮要五圖)』가 있다. 편서로는 『유문경제(儒門經濟)』·『성학십도해설(聖學十圖解說)』이 있다.

상훈과 추모

묘는 예천 조비동(鳥飛洞)에 있으며, 이만규(李晩煃)가 묘지명을, 곽종석이 묘갈명을 지었다.

참고문헌

『나암유고(羅巖遺稿)』
『나암수록(羅巖隨錄)』
『나암행략(羅巖行略)』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티 카페 슬롯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티 카페 슬롯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