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그마틱 슬롯 사이트 박종보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형조참판, 성천부사, 춘천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여신(汝臣)
시호
충익(忠翼)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60년(영조 36)
사망 연도
1808년(순조 8)
본관
반남(潘南: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
주요 관직
형조참판|성천부사|춘천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프라그마틱 슬롯 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형조참판, 성천부사, 춘천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여신(汝臣). 아버지는 판돈녕부사 박준원(朴準源)이며, 어머니는 증 이프라그마틱 슬롯 사이트판 원경유(元景游)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87년(정조 11) 누이가 수빈(綏嬪: 순조의 생모)이 되자 음보(蔭補)로 장악원주부(掌樂院主簿)에 등용되고 사옹원주부(司饔院主簿), 의빈부(儀賓府)와 충훈부(忠勳府)의 도사(都事)를 역임하였다. 1789년 생원시에 합격프라그마틱 슬롯 사이트, 이듬해 정조의 아들이 태어나자 임금의 명에 따라 궁중에서 보육의 책임을 맡았다.

1800년 정조가 죽고 정순왕후(貞純王后)가 수렴청정을 할 때, 왕의 몸을 보호하는 가까운 친척이 측근에 있어야 한다고 해 임금의 외숙으로서 동부승지에 임명되프라그마틱 슬롯 사이트. 이듬해 공조참의가 되고, 임금이 천연두를 앓을 때 입직한 공로로 호조참판에 임명되프라그마틱 슬롯 사이트.

1803년 형조참판을 거쳐 성천부사(成川府使)·춘천부사(春川府使) 등을 역임프라그마틱 슬롯 사이트, 1806년 다시 내직으로 들어와 사도시제조(司䆃寺提調)가 되었다. 이 때 대신들의 천거로 호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음관(蔭官)이 단천(單薦)으로 호조판서가 된 것은 유례가 없다.”고 세 차례나 상소해 사양하였다.

비변사당상으로 바꿔 임명되었으나 사양프라그마틱 슬롯 사이트 나가지 않았다. 정조로부터 “비록 음관으로 벼슬에 올랐지만 풍도(風度: 풍채와 태도)는 문신과 같으니 후일 마땅히 재상이 될 것이다.”라는 평을 받았다. 여러 번 과거에 떨어졌으나 태연하였다.

초년에 빈한하게 살았기 때문에, 높은 관직에 올라 녹봉이 많아지자 즐겨 남을 도와주었으며, 서예에도 재능이 있프라그마틱 슬롯 사이트. 뒤에 영의정으로 추증되프라그마틱 슬롯 사이트.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참고문헌

『순조실록(純祖實錄)』
『운석유고(雲石遺稿)』
『반남박씨세보(潘南朴氏世譜)』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프라그마틱 슬롯 사이트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프라그마틱 슬롯 사이트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프라그마틱 슬롯 사이트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