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 슬롯 박이겸 ()

삼암유고 / 입덕문가
삼암유고 / 입덕문가
유교
인물
조선 중기에, 「입덕문가」, 『삼암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덕후(德厚)
삼암(三巖), 의재(毅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3년(명종 8)
사망 연도
1613년(광해군 5)
본관
밀양(密陽)
출생지
충청북도 옥천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미스터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입덕문가」, 『삼암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덕후(德厚), 호는 의재(毅齋) · 미스터 슬롯(三巖). 옥천(沃川)에서 태어나 주계(朱溪 : 현, 전북특별자치도 무주)에서 살았다. 아버지는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 박충현(朴忠賢)이며, 어머니는 의흥박씨(義興朴氏) 화순현감(和順縣監) 박준(朴埈)의 딸이다. 삼종숙(三從叔)인 박사종(朴嗣宗)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박이겸이 20세 되던 해에 영남을 주류하며 당시의 거유들을 찾아뵈면서, 조식(曹植)에게서는 출처(出處)의 의리를, 정구(鄭逑)에게서는 성리설(性理說)과 예악형정설(禮樂刑政說) 등을 듣고서는 집에 돌아와 삼암(三巖)에 정자를 짓고 후생을 가르치기 시작미스터 슬롯다.

그 후 외가를 따라 성주(星州)로 이사하여 살기도 하면서 무주(武朱)와 성주에서 각기 향천(鄕薦)을 입었으나 벼슬에 나가지는 못미스터 슬롯고, 그의 나이 33세 때 암행어사 목장흠(睦長欽)의 천거로 정릉참봉(貞陵參奉)이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중용』과 『대학』에 특히 조예가 깊었으며, 그에서 얻어진 공부를 한글로 「입덕문가(入德門歌)」라는 가사(歌詞)로 옮겨 누구나 쉽게 학문을 터득하도록 읽혔으며, 또 세속이 술을 너무 쉽게 마시는 것을 금지하려 향음주례(鄕飮酒禮)를 베풀어 이의 폐단을 바로 잡으려 미스터 슬롯다.

이조참판(吏曹參判)이 증직되었고, 무주의 압계서원(鴨溪書院)에 봉향되었다. 저서로는 『미스터 슬롯유고(三巖遺稿)』 2권이 있다.

참고문헌

『미스터 슬롯유고(三巖遺稿)』
관련 미스터 슬롯 (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미스터 슬롯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스터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