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카 박열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부승지, 도승지, 공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열지(說之)
시호
이정(夷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64년(세조 10)
사망 연도
1517년(중종 12)
본관
밀양(密陽)
주요 관직
부승지|도승지|공조참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카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부승지, 도승지, 공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열지(說之). 박의림(朴義林)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목천현감 박유(朴維)이고, 아버지는 사옹원첨정(司饔院僉正) 박사동(朴思東)이며, 어머니는 박천도사(博川都事) 박전(朴旃)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83년(성종 14)에 생원이 되고, 1489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承文院副正字)가 되었다. 이어 정자·저작(著作)·박사(博士)를 역임하고, 1495년(연산군 1) 감찰이 되고, 수찬(修撰)·이조좌랑을 슬롯 카 승문원교검(承文院校檢)을 겸하였다.

1497년 문과 중시에 을과로 급제하여 부교리(副校理)가 되고 호조정랑으로 옮겼으며, 1499년 승문원교감(承文院校勘), 장령(掌令) 등을 슬롯 카 부응교(副應敎)가 되었다. 1500년 직제학 겸 예문관응교(直提學兼藝文館應敎)가 되었고, 1503년 부승지·도승지에 이어 형조·공조참판, 성균관사가 되었다.

1509년(중종 4) 대사헌·도총부도총관(都摠府都摠管)을 슬롯 카 1510년 예조판서·이조판서에 이르고, 1516년 우찬성(右贊成)이 되었다. 연산군 때 『성종실록』 편찬에 편수관으로 참여하였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었으나 추모함이 쇠하지 않았고, 어머니에게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형제간의 우애와 친구 사이에 신의가 있었다. 묘는 경기도 고양시 다원동에 있다. 시호는 이정(夷靖)이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이락정집(二樂亭集)』
『국조방목(國朝榜目)』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슬롯 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슬롯 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