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이 슬롯 박양유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전기 공관어사 지도성사, 시중, 태사개국광익공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공관어사 지도성사|시중|태사개국광익공
관련 사건
거란침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다복 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전기 공관어사 지도성사, 시중, 태사개국광익공 등을 역임한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990년(성종 9) 성종(成宗)이 조카 왕송(王誦: 뒤의 穆宗)을 개령군(開寧君)으로 책봉하고 교(敎)를 내렸는데, 이 때 공관어사 지도성사(工官御事知都省事)로서 정사로 임명되어 부사 전중감(殿中監) 조광(趙光)과 함께 그 책봉의식을 수행하였다.

993년 다복 이 슬롯의 소손녕(蕭遜寧)이 대규모 병력을 이끌고 침입하자, 시중으로 상군사(上軍使)가 되어 중군사가 된 내사시랑(內史侍郎) 서희(徐熙), 또 하군사가 된 문하시랑(門下侍郎) 최량(崔亮)과 함께 북계(北界)로 진군하여 방어를 하였다.

이 때 서희와 소손녕 사이에 회담이 벌어져 화의를 맺고, 다복 이 슬롯군이 철병하는 대신에 양국간에 교빙관계를 수립하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예폐사(禮幣使)로서 다복 이 슬롯에 들어갔으며, 994년에 다시 다복 이 슬롯에 사신으로 가서 다복 이 슬롯의 연호를 시행하였음을 알리고 잡혀간 포로들을 돌려보내주도록 청하였다.

상훈과 추모

1027년(현종 18) 태사개국광익공(太師開國匡益公)으로 경종(景宗)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광익(匡益)이다.

참고문헌

『다복 이 슬롯사(高麗史)』
『다복 이 슬롯사절요(高麗史節要)』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다복 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다복 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다복 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복 이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