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이지 슬롯 제휴 박난영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후기 중군, 선위사, 선유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형백(馨伯)
시호
충숙(忠肅)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636년(인조 14)
주요 관직
면천군수|중군|선위사|선유사
관련 사건
정묘호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크레이지 슬롯 제휴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중군, 선위사, 선유사 등을 역임한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선조 때 면천군수(沔川郡守)·중군(中軍) 등을 거쳐, 1619년(광해군 11) 강홍립(姜弘立)을 따라 후금(後金) 정벌에 나갔크레이지 슬롯 제휴 포로가 되었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 후금군의 길잡이로 함께 들어왔크레이지 슬롯 제휴 석방된 뒤, 회답관(回答官)·선위사(宣慰使)·선유사(宣諭使)·추신사(秋信使)·춘신사(春信使) 등으로 여러차례 심양(瀋陽)을 내왕하며 후금을 회유하는 데 힘썼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박로(朴로)와 함께 사신으로 파견되었크레이지 슬롯 제휴 잡혀 용골대(龍骨大)·마부대(馬夫大) 휘하의 청군 진영에 머무르게 되었다.

그러나 이때 청나라의 요구로 조정에서 능봉군(綾峰君)과 심집(沈諿)을 왕자와 대신으로 가장시켜 적진에 보내었는데, 마부대가 박난영에게 사실여부를 확인하자 두 사람이 왕자·대신임을 증언하였크레이지 슬롯 제휴 곧 정체가 밝혀지자 청나라 군사에 의하여 살해되었다. 뒤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크레이지 슬롯 제휴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크레이지 슬롯 제휴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크레이지 슬롯 제휴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