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슬롯사이트 민항렬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정언, 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유화(幼和)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45년(영조 21)
사망 연도
1776년(정조 즉위년)
본관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주요 관직
정언|승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온라인 슬롯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정언, 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유화(幼和). 고조부는 숙종비 인현왕후 아버지인 민유중(閔維重), 증조부는 좌의정 민진원(閔鎭遠), 할아버지는 온라인 슬롯사이트 민통수(閔通洙)이고, 아버지는 부솔(副率) 민백선(閔百善)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음서로 관계에 나아가 1771년(영조 47) 정언(正言)이 되고, 이듬해 언관의 권위와 역할이 떨어진 것을 상소하였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향리로 쫓겨났으며, 1775년 승지가 온라인 슬롯사이트.

그러나 1776년 정조가 즉위하자 왕이 세손으로 있을 때 벽파(僻派)인 홍인한(洪麟漢)·한익모(韓翼暮)·정후겸(鄭厚謙)·윤양후(尹養厚)·윤약연(尹若淵)·홍지해(洪趾海)·홍찬해(洪纘海)·윤상후(尹象厚)·홍상간(洪相簡) 등의 일당에 가담하여 세손의 대리청정과 즉위를 반대하였던 관계로 모두 처벌을 받게 온라인 슬롯사이트.

이에 민항렬도 홍상간 등과 함께 같은 해 7월에 처형온라인 슬롯사이트. 그 뒤 1862년(철종 13) 광주(廣州)의 사노(私奴) 필손(弼孫)의 신원으로 그 관작이 복구온라인 슬롯사이트.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명의록(明義錄)』
집필자
박정자(전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온라인 슬롯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슬롯사이트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온라인 슬롯사이트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슬롯사이트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