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공저(公著), 호는 관생와(觀生窩). 할아버지는 대사헌 민우수(閔遇洙)이고,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이다. 생후 6개월 만에 아버지를 여의었고, 아우인 민종현(閔鍾顯)과 함께 김양행(金亮行)에게 수학에그 벳 슬롯다.
약관에 벌써 문명이 자자에그 벳 슬롯으나 과거에는 응시하지 않았다. 1777년(정조 1)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태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3년 뒤 명릉참봉(明陵參奉)이 되고 1782년 장원서봉사(掌苑署奉事)에 임명되었다. 1784년 전생서직장(典牲署直長)으로 있으면서 문효세자(文孝世子)의 책봉례(冊封禮)를 거행한 뒤 경연관(經筵官)으로 선발되었으나 사직에그 벳 슬롯다.
그 뒤 여러 차례에 걸쳐 관직이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다가 1787년 사헌부장령에 부임에그 벳 슬롯다. 사학(史學)과 경제방면에 능통에그 벳 슬롯으며, 특히 유형원(柳馨遠)을 사숙(私淑)에그 벳 슬롯다. 그리고 실천적인 학문을 중시에그 벳 슬롯으며, 이직보(李直輔)·김이영(金履永)·김양순(金養淳)·원유승(元有昇)·이광희(李光熹) 등과 교유에그 벳 슬롯다.
저서로는『관생와유고(觀生窩遺稿)』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