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꽁 머니 미투리

목차
의생활
의복
삼 · 노 따위로 삼은 신.
이칭
이칭
마혜, 마구, 삼신, 왕골신, 청올치신, 무리바닥, 지총미투리, 절치, 탑골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 · 노 따위로 삼은 신.
내용

여섯 날 내지 여덟 날에 총을 50∼60개 세워 바닥이나 총이 아주 정교하고 날씬한 형태이다. 마혜(麻鞋) 또는 마구(麻屨)라고도 하며, 재료로는 삼·왕골·청올치·백지·면사·견사 등이 사용되었다. 슬롯 머신 꽁 머니는 재료나 만듦새에 따라 삼신·왕골신·청올치신·무리바닥·지총슬롯 머신 꽁 머니 등으로 불렸다.

지총슬롯 머신 꽁 머니는 종이를 꼬아서 총을 만든 것이고 무리바닥은 여덟 날로 만들고 바닥에 쌀가루를 먹여 만든[八經粉塗] 정제품이었다. 만든 곳에 따라 절에서 만들어 파는 것은 절치, 탑골의 장인들이 만든 것은 탑골치라 부르기도 하였다.

슬롯 머신 꽁 머니는 선비들이 맑은 날 나들이에 신었으며, 조선 말기에는 종이슬롯 머신 꽁 머니와 미혼남녀의 장식신인 꽃슬롯 머신 꽁 머니도 있었다. 『성호사설유선(星湖僿說類選)』에서는 왕골신이나 망혜(芒鞋)는 가난한 사람의 신이었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슬롯 머신 꽁 머니도 신분에 따라 그 재료나 구조가 달라졌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슬롯 머신 꽁 머니는 조선시대 서민층 상류계급에서 신었던 대표적인 신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한국복식사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조선상식(朝鮮常識)』(최남선, 동명사, 1948)
『조선복식고(朝鮮服飾考)』(이여성, 백양당, 1947)
「화제(靴制)」(조효순, 『한국(韓國)의 복식(服飾)』, 문화재관리국,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슬롯 머신 꽁 머니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슬롯 머신 꽁 머니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