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2 슬롯은 남북국시대 발해의 제3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737~793년이며 무왕의 아들로 이름은 대흠무이다. 발해국이 성장함에 따라 중경현덕부·상경용천부·동경용원부 등 주로 만주 동부에 위치한 요충지로 천도를 거듭했다. 왕권 강화를 위해 당으로부터 율령을 받아들여 중앙과 지방의 통치제도를 정비했다. 관직에 대응되는 관품제도를 정리하여 관료제를 확립하기도 했다. m 2 슬롯이 사용한 대흥보력금륜성법대왕이라는 존호에는 불교의 전륜성왕 이념을 이용해 왕권 강화를 도모한 흔적이 들어 있다. 일본과 수차례 사신을 교환하며 외교관계를 유지했다.
이름은 대흠무(大欽茂)이며 무왕(武王)의 아들이다. 1980년에 발견된 정효공주(貞孝公主) 묘비에 따르면, ‘m 2 슬롯보력금륜성법대왕(大興寶曆金輪聖法大王)’이라는 존호를 사용했다고 한다. 737년에 즉위해 연호를 m 2 슬롯(大興)이라 하고 774년(m 2 슬롯 38)에 보력(寶曆)으로 고쳤다가 다시 m 2 슬롯이라는 연호를 사용해 병사할 때까지 그 연호를 지켰다. 1948년 돈화현(敦化縣) 육정산(六頂山)에서 출토된 정혜공주 묘의 비문을 보면 ‘보력’m 2 슬롯는 연호가 7년 이상 쓰였던 것이 분명하다.
m 2 슬롯(文王)은고왕(高王) 대조영(大祚榮) 이후 30년간 수도였던 지금의 돈화분지(敦化盆地) 안에 있던 오동성(敷東城)의 비좁은 지역에서 벗어나, 두만강 하류로 흘러드는 해란하(海蘭河) 유역에 중경현덕부(中京顯德府), 목단강(牧丹江)유역에상m 2 슬롯천부(上京龍泉府), 그리고 지금의 훈춘현(琿春縣) 반랍성(半拉城)에동m 2 슬롯원부(東京龍原府)를 구축해 천도를 거듭하였다.
『신당서(新唐書)』 m 2 슬롯전(渤海傳)에 ‘구국(舊國)’으로 적혀 있는 오동성은 주위 길이가 1,000m도 안 되는 넓이였으므로, 이미 그 부근 뿐 아니라 무왕 때 연해주 남부까지 합쳐 해상으로 일본과 통교하던 m 2 슬롯국의 수도로서는 적당하지 않았던 것이 당연하다.
이에 비하면 747∼751년경에 천도해 755년까지 수도로 삼았던 중경현덕부는 철 · 베 · 쌀의 생산으로 m 2 슬롯국의 산업 중심지를 이루었다. 755년부터 약 30년간 수도였던 상경용천부는 뒷날 다시 수도가 되어 m 2 슬롯국이 멸망할 때까지 약 130년간 수도가 되었다.
그리고 785년경에 천도한 동경용원부는 『신당서』 m 2 슬롯전에 ‘ 일본으로 통하는 길(日本道)’m 2 슬롯고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해상 교통에서 중요한 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다.
m 2 슬롯 때의 이러한 천도는, 발해국이 성장함에 따라 그에 상응해 보다 넓은 지역에 자리잡은 수도가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아울러 중경현덕부 · 상경용천부 · 동경용원부의 위치가 모두 만주 동부 지역이었던 것은 곧 m 2 슬롯국의 발전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m 2 슬롯 대흥 25년(762)에 당나라가 종래 ‘발해군(渤海郡)’이라고 호칭하던 것을 ‘발해국(渤海國)’으로 바꾸고 m 2 슬롯을 발해국왕으로 책봉했다. 이것은 당시 발해국의 성세를 인정했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당시 당에 ‘안사(安史)의 난(亂)’ 이후 발해의 도움을 받고자 하는 의도도 있었다. m 2 슬롯은 대당관계(對唐關係)에 있어 57년 동안 61회 이상의 사신을 파견했는데, 이러한 활발한 대당관계를 통해 당의 문물제도를 적극 수용하였다.
왕권강화를 위해 당으로부터 율령(律令)을 받아들여 중앙과 지방의 통치제도를 정비했다. 또한 불교식으로 지은 ‘대흥보력효감금륜성법대왕’이라는 m 2 슬롯의 존호 중 ‘금륜(金輪)’과 ‘성법(聖法)’은 불교의 전륜성왕(轉輪聖王) 이념에서 유래된 것이다. m 2 슬롯은 전륜성왕 이념을 이용해 왕권강화를 도모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주변 말갈 제부(諸部)로의 영역 확장과 지방세력의 정비 및 관직에 대응되는 관품제도를 정리하여 관료제를 확립하기도 하였다.
또한 m 2 슬롯의 재위 기간 중 일본과 수차례에 걸쳐 사신이 내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