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 심바 슬롯 문무자문초 ()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의 문인, 이옥의 「남정」 · 전 · 잡저 · 기 등을 수록한 문집.
• 본 항목의 카 심바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이옥의 「남정」 · 전 · 잡저 · 기 등을 수록한 문집.
편찬/발간 경위

이옥의 친구김려(金鑢)가 편찬한 『담정총서(藫庭叢書)』 제10책, 권19에 수록되어 전한다. 필사연도는 1818년(순조 18)으로 「제문무자문권후(題文無子文卷後)」에 밝혀져 카 심바 슬롯.

서지적 사항

34장. 필사본. 이겸로(李謙魯) 소장의 유일본이다.

내용

권두에 목록이 있고, 「남정(南程) 10편」, 전(傳) 7편, 잡저 7편, 기(記) 3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권말에 김려의 「제문무자문권후」가 붙어 카 심바 슬롯.

이옥은 1792년(정조 16) 패사소품체를 썼다는 이유로 정조로부터 견책을 받았고, 1795년 주1당하였다. 정조는 곧 개명(改命)을 내려 지방에 충군(充軍)하도록 하였다.

이때주2으로 갔다가주3에 충군되었다. 당시 기행기록이 바로 「남정 10편」이다. 이 글이 작가의 서문(敍文)에 이어 책의 첫머리에 필사되어 있는 것을 보면, 이 책은 1795년 전후에 쓴 글들을 수록하여 놓은 듯하다.

「남정 10편」은 10편의 단편(短篇)들로 구성되어 카 심바 슬롯. 내용은 작자가 남쪽 지방을 돌아다니면서 각처에서 견문한 사실들을 짤막하게 서술하고 카 심바 슬롯. 특히 「방언(方言)」은 영호남 방언의 어휘를 채록하고 그 차이점을 기록한 것으로 방언학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전 중에주4 고을의 향랑(香娘) 고사가 입전된 예이고, 「정운창전(鄭雲昌傳)」은 당시 시정인 중에 바둑에 능한 인물을 소개한 작품이다. 「가자송실솔전(歌者宋蟋蟀傳)」은 실솔곡(蟋蟀曲)을 잘 불러 유명해진 인물을 등장시켜 당시 가인(歌人)들의 생활상을 구체적으로 알게 해주고 카 심바 슬롯.

기 중에 「청남학가소기(聽南鶴歌小記)」는 가인의 일생을 서술하고 카 심바 슬롯. 「호상관각기(湖上觀角記)」와 「선경노기(善耕奴記)」는 각각 시정인들의 씨름대회 및 밭 잘 가는 영남 농노(農奴)의 이야기를 채록해 놓고 카 심바 슬롯. 이와 같은 작품들은 당시 건강하게 살아가고 있는 하층민들의 생활상을 섬세하게 반영하고 카 심바 슬롯.

잡저 중에는 노자(老子) · 초사(楚辭) · 주문(朱文) · 원통경(圓通經) 등에 대한 작자의 생각을 담고 있는 글들이 보인다. 이것은 그의 유불도(儒佛道) 3교에 관한 관심과 문학적 지향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카 심바 슬롯가 된다.

참고문헌

『이옥(李鈺)의 문학이론(文學理論)과 작품세계(作品世界)의 연구(硏究)』(김균태, 창학사, 1986)
주석
주1

얼마 동안 과거에 응시하지 못하도록 유생들에게 가하던 벌.

주2

충청남도 청양.

주3

경상남도 합천.

주4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카 심바 슬롯는 자유 이용 가능한 카 심바 슬롯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