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 엔트 슬롯 부여 무량사 극락전 ( )

목차
관련 정보
부여 무량사 극락전 정측면
부여 무량사 극락전 정측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에 있는 조선시대 에 창건된 사찰건물.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부여 무량사 극락전(扶餘 無量寺 極樂殿)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 무량사 (만수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에 있는 조선시대 에 창건된 사찰건물.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사찰의 전각 중에서는 보기 드문 2층 넷 엔트 슬롯로, 1층은 앞면 5칸, 옆면 4칸이고, 2층은 앞면 3칸, 옆면 2칸이다. 바깥쪽에서 보면 2층이지만, 안쪽은 위아래층을 나누지 않고 하나로 통하여 있다.

넷 엔트 슬롯의 앞면에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살문을 달았다. 곧 가운데의 정간(正間)에는 4짝의 살문을 달았는데, 그 좌우의 협간(夾間)과 귀퉁이의 툇간(退間)에는 각각 2짝과 1짝씩을 달았다. 양쪽 옆면의 앞쪽 1칸과 뒷면 가운데칸에는 출입문이 나 있으며, 그 밖의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모두 널빤지를 세워 널벽[板壁]을 쳤다.

넷 엔트 슬롯 안은 4면에 너비 1칸의 바깥둘레칸을 두고서, 그 안쪽으로 3칸×2칸인 평면을 구분하여 고주(高柱)를 둘러 세웠다. 이 구획의 가운데 뒤쪽에는 제법 높은 불단(佛壇)이 마련되어 있는데, 그 위에는 아미타삼존불(阿彌陀三尊佛)을 모셨다. 1층의 고주는 2층으로 길게 이어져 2층의 네 귀퉁이 기둥이 되었다. 이 기둥 사이는 판벽으로 막아 아주 낮은 벽면을 만들었는데, 벽면에는 빛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광창(光窓)이 설치되었다. 넷 엔트 슬롯 안의 바닥에는 마루가 깔려 있다.

넷 엔트 슬롯의 공포는 여느 다포(多包)계 넷 엔트 슬롯처럼 각 기둥의 머리 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도 배열되어 있다. 공포를 짜 맞춘 포작(包作)의 수는 1층이 안팎 모두 3출목(三出目)인 데에 반해 2층은 안팎 4출목이어서, 출목수에 변화를 주었다. 특히 기둥 위의 쇠서[牛舌]가 풀꽃 모양의 초화형(草花形)이어서 특이하다. 이러한 모습은 내부의 살미첨차가 1장의 장식판처럼 연결되어 구름 모양을 새긴 운공(雲工)으로 처리된 점과 함께 조선 중기 이후에 성행하였던 가구(架構)의 장식화 경향을 잘 보여준다. 천장에는 종보[宗樑] 위에 우물반자를 설치하였고, 아래쪽의 대들보에서 옆면 기둥까지는 대들보와 직각 방향으로 충량(衝樑)을 두었는데, 끝부분에는 용머리 모양이 조각되었다.

이 넷 엔트 슬롯은 조선 중기에 건립된 목조 넷 엔트 슬롯의 양식적 특징을 잘 나타낸 넷 엔트 슬롯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보물1(넷 엔트 슬롯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넷 엔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넷 엔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넷 엔트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