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2책. 목활자본. 1637년(인조 15) 3대손 흥도(興道)가 수집한 유고를 10대손 영건(榮建)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청천유고(菁川遺稿)』 속에 수록되어 있으며, 유승국(柳承國)이 소장하고 플레이 텍 슬롯.
상권에 시 480수, 하권에 유속리산록(遊俗離山錄)·북상행초(北上行草), 제문 2편, 전(箋)·서(序) 각 1편, 부록으로 지문(誌文)과 유사 등이 수록되어 플레이 텍 슬롯.
시는 우리나라의 명승지를 여행하면서 회고(懷古)의 정과 풍물에 대한 감흥을 읊은 것이 많다. 「악부자군지출후(樂府自君之出後)」는 『시경』플레이 텍 슬롯체를 모방하여 소박한 정서와 질박한 운율을 잘 조화시킨 작품이며, 「만흥시반중제언(晩興示泮中諸彦)」은 한여름날 서울의 저녁 풍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수작이다,
「유속리산록」은 속리산 기행문인데 시 28수가 포함되어 플레이 텍 슬롯. 그 가운데 「선(仙)」이라는 제목의 시에는 속리산의 신비롭고 장엄한 모습과 함께 거기에 얽힌 전설과 지리적 특징 등이 소개되어 플레이 텍 슬롯.
「북상행초」는 저자가 1542년(중종 37) 중국에 사신으로 갔을 때의 여정과 소감을 적은 것으로, 237수의 시가 근간을 이루고 플레이 텍 슬롯. 이국의 자연과 풍물, 고국과 고향을 그리는 심경이 잘 나타나 플레이 텍 슬롯.
또, 그 글의 끝에는 연도의 상황과 수행원에 관한 것들이 부기되어 플레이 텍 슬롯. 서울에서 북경까지의 거리를 4,013리라 하였고, 연도의 각 고을과 역소(驛所)의 지명 및 지리, 그리고 수행원의 수와 각인의 직무, 사신행렬의 모습과 그들이 행한 의식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당시 중국 사행(使行)에 관한 연구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