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 엔트 슬롯 목창명 ()

목창명 글씨
목창명 글씨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대사간, 부제학, 병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제세(際世)
취원(翠園)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45년(인조 23)
사망 연도
1695년(숙종 21)
본관
사천(泗川)
주요 관직
대사간|부제학|병조판서
관련 사건
기사환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대사간, 부제학, 병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사천(泗川). 자는 제세(際世), 호는 취원(翠園). 이조참판 목첨(睦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도승지 목장흠(睦長欽)이고, 아버지는 관찰사 목행선(睦行善)이며, 어머니는 장령 윤효영(尹孝永)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70년(현종 11)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여러 언관직(言官職)을 거쳐 1674년(숙종 즉위년) 진향사(進香使)의 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헌납(獻納)·응교를 거쳐, 1677년 승지, 다음 해 대사간·이조참의 넷 엔트 슬롯 역임하였다.

남인이었던 까닭에 1680년 경신대출척이 일어나자 사직하였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대사간에 복직되고, 이어 한성부우윤·도승지·대사헌·대사성 넷 엔트 슬롯 역임하고, 이듬해 경기도관찰사로 나갔다가 부제학이 되었다.

1692년 형조판서를 넷 엔트 슬롯, 이듬해 병조판서가 되었으나, 1694년 갑술옥사로 다시 서인이 정권을 잡자 탄핵을 받고 삭주(朔州)에 안치되어, 유배지에서 죽었다. 1699년 관작이 복구되었다.

참고문헌

『효종실록(孝宗實錄)』
『현종실록(顯宗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관련 넷 엔트 슬롯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넷 엔트 슬롯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넷 엔트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