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1책. 석인본. 1973년에 증손 완호(玩鎬)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성구용(成九鏞)의 서문과 권말에 완호의 발문이 자바 스크립트 슬롯 머신. 전라남도 장성의 변시연가(邊時淵家)의 산암문고(汕巖文庫)에 소장되어 자바 스크립트 슬롯 머신.
시 89수, 서(書) 1편, 잡저 5편, 변(辨)·논(論)·설(說) 각 1편, 서(序) 3편, 발(跋) 4편, 잠(箴)·찬(贊) 각 1편, 제문 4편, 애사 1편, 전(傳) 2편, 부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끝에는 그의 아들 정섭(定燮)의 『소담유고(小潭遺稿)』가 합록되어 자바 스크립트 슬롯 머신.
시는 23수의 연작(聯作)으로 구성된 「동유잡영(東遊雜詠)」과 「승가사(僧伽寺)」 등의 유람시가 대표적이다. 서(書)의 「답이공오(答李公五)」는 이응진(李應辰)에게 보낸 답서로서, 당시 성행하던 민란을 염려하는 자바 스크립트 슬롯 머신이다.
「잡지(雜識)」·「기몽(記夢)」·「독장자(讀莊子)」·「주계(酒戒)」·「인서변(仁恕辨)」·「강유각둔한수론(姜維却屯漢壽論)」 등에는 그의 학문성향이 나타나 자바 스크립트 슬롯 머신.
그밖에 윤낙현(尹洛鉉)의 시사평론집인 『송고칠실록(松皐漆室錄)』과 스승인 유신환이 전의현감(全義縣監)에 재임하면서 편집한 『전의현충효전(全義縣忠孝傳)』 등에 대한 서·발 등이 수록되어 자바 스크립트 슬롯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