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 도키 슬롯 매구루 ()

목차
고대사
지명
북옥저(北沃沮)의 다른 이름.
이칭
이칭
매구(買溝), 치구루(置溝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오키 도키 슬롯습니다.
목차
정의
북옥저(北沃沮)의 다른 이름.
내용

『삼국지』관구검전(毋丘儉傳)에 의하면 관구검의 침입으로 고구려 동천왕(東川王)이 매구(買溝)로 도망하였다고 하는데, 여기의 매구는 같은 『삼국지(三國志)』위서(魏書) 동옥저전(東沃沮傳)에 나타난 북옥저의 다른 이름인 치오키 도키 슬롯(置構婁)와 서로 통한다. 매구는 매오키 도키 슬롯(買溝婁)의 약칭으로 볼 수 있다.

오키 도키 슬롯(溝婁)는 곧 성(城)을 일컫는 고구려 말로, 치오키 도키 슬롯는 즉 치성(置城) 즉 책성(冊城)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광개토왕비문(廣開土王碑文)에 보이는 410년(영락 20)에 광개토왕이 동부여를 정벌하였을 때, 광개토왕의 은덕을 흠모하여 고구려로 내항한 5압로(鴨盧) 중 미오키 도키 슬롯압로(味仇婁鴨盧)의 미오키 도키 슬롯를 매오키 도키 슬롯와 통하는 것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또한 광개토왕릉비 말미의 수묘인연호조에 나오는 매구여민(賣句余民)의 ‘매구’를 매오키 도키 슬롯의 줄임말로 파악하기도 한다. 즉 두만강 하류 일대에 위치하였던 북옥저나 동부여 영역 내의 지명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지(三國志)』
『광개토왕비문(廣開土王碑文)』
『광개토왕릉비』(박시형, 1966)
「광개토왕릉비」(노태돈, 『역주오키 도키 슬롯고대금석문』1, 오키 도키 슬롯고대사회연구소편, 1992)
「광개토왕의 웅략」(이병도, 『오키 도키 슬롯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오키 도키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오키 도키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