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록의 임야 및 경지 일대에는 200여 기의 고분이 분포하는데, 이 중 2기만이 돌무지메이드 슬롯〔積石塚〕이며 나머지는 봉토분(封土墳)이다. 만달산고분군에 대한 조사는 조선총독부에서 두 차례에 걸쳐 실시했는데 1916년에 돌무지메이드 슬롯인 제1호분과 봉토분인 제2호분이 발굴조사되었고, 그밖에 파괴가 심한 돌무지메이드 슬롯인 제3호분은 외부조사만 이루어졌다.
이어서 1926년에는 메이드 슬롯분 14기가 발굴조사되고 1기는 외부만 조사되었다. 조사된 18기 중 대부분이 중·소형급에 해당하지만 동편에 위치한 제1·2·3호분은 상대적으로 크며 메이드 슬롯는 방대형으로 추정된다.
조사 당시 돌무지메이드 슬롯 2기는 매장주체부를 포함한 상부가 이미 유실되어 있었으나 계단식 돌무지메이드 슬롯으로 파악되었다. 제1호분은 한 변 10.6m, 잔존 높이 1.15m이고, 제3호분은 한 변 17.2m, 잔존 높이 2m로 대동강유역 돌무지메이드 슬롯의 규모는 큰 편에 속한다. 원형봉토분 16기의 매장주체부는 모두 굴식돌방메이드 슬롯〔橫穴式石室墳〕이며 홀방〔單室〕이 일반적이지만 3기(제5·7·8호분)는 각기 동서로 병행하는 같은 규모의 2실을 구비하였다.
메이드 슬롯의 구조는 돌덧널〔石槨〕의 옆면이 긴 형식(橫壙式)으로 하나의 고분 중 덧널을 가지고 있는 것이 적지 않다. 널방은 고구려의 고분에 흔히 있는 모줄임천장을 하고 있다. 돌덧널의 재료는 부근에서 풍부히 구할 수 있는 석회석을 사용하였고, 내면에는 회칠을 하였다.
외형은 거의 불명확하나 돌무지메이드 슬롯은 네모모양의 기단을 가지며 봉토분 역시 방대형으로 봉토가 비교적 완전한 것으로 보인다. 이 고분군에서는 돌무지메이드 슬롯 1기와 봉토분 1기가 대표적이며 비교적 완전한 것이다.
제1호분은 석총(石塚)으로 만달산의 서남쪽 여호동의 산림 중 완만한 경사면에 조영되었던 것이나 이미 붕괴되어 당초의 형상을 알아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고구려 국내성(國內城)의 유허인 압록강 우안의 중국 봉천성(奉天省) 집안현(集安縣) 통구(通溝) 부근에 적지 않게 존재하는 그러한 종류의 돌무지메이드 슬롯으로 초기의 형상을 짐작할 수 있다.
이 붕괴된 석총도 당초에는 돌덧널을 만든 다음 흙을 덮어 작은 깬돌로 그 외부를 쌓고 다시 깬돌으로 사방을 계단형으로 쌓아올린 외형이 피라미드의 정상부를 자른 것과 같은 모양의 계단형절두방추형(階段形截頭方錐型)으로 볼 메이드 슬롯다.
제2호분은 1호분의 남남동쪽 산림지대에 있는 메이드 슬롯으로 부근에 있는 것 중 최대이다. 봉토 및 돌덧널이 비교적 완정(完整)한데 내부는 석회석으로 남면해 옆면을 구덩이식으로 판 횡광식돌덧널〔橫壙式石槨〕을 쌓았다. 널방 천장은 고구려메이드 슬롯에서 통용되는 모줄임식으로 네 벽에서 각 창방(昌枋)을 쌓고 그 위에 우삼각(隅三角) 및 평삼각(平三角)의 모줄임을 거듭했다.
널방의 크기는 길이 약 270㎝, 너비 약 228㎝, 높이 3m메이드 슬롯. 널길은 길이 약 330㎝, 너비 90㎝, 높이는 널방에 접하는 부분이 138㎝, 입구가 180㎝메이드 슬롯. 널길 좌우의 측벽 및 천장은 그 입구까지 회칠을 하였다.
이 봉토분 역시 메이드 슬롯시대의 봉토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방대형으로서 현재 봉토의 높이는 450㎝, 길이는 대략 15m 정도로 보인다. 돌덧널 내에서 발견된 쇠못은 전체길이 11.7㎝로 단면은 네모모양이고 머리부분은 원형으로 직경이 2.4㎝이다. 모두 널〔木棺〕에 사용되었던 것이다.
제3호분은 1호분의 남쪽, 2호분의 서남쪽 밭 가운데 있으며, 메이드 슬롯의 주변은 흙으로 쌓았다. 길이 약 13.5m, 높이 약 150㎝의 네모메이드 슬롯〔方形墳〕으로 역시 계단형절두방추형이다. 출토된 유물은 금제귀걸이·금동고리〔金銅環〕·청동팔찌〔靑銅釧〕·청동고리〔靑銅環〕·쇠거울〔鐵鏡〕·오수전(五銖錢) 등으로 고구려고분으로서는 매우 많은 편이다.
만달산메이드 슬롯군의 연대는 돌방의 구조 및 출토유물 등으로 미루어보아 대체로 5세기 후반대에서 6세기 전반대가 그 중심시기로 추정된다. 평양도읍기의 메이드 슬롯들 중에서 초기에 속하는 대표적인 것의 하나로 평가된다. 이 메이드 슬롯군에서 출토된 금공품과 쇠거울 등은 고구려 메이드 슬롯문화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