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g 슬롯 동녕부 ()

목차
고려시대사
단체
고려시대에 서경에 설치된 원나라 통치기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rtg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에 서경에 설치된 원나라 통치기관.
내용

1269년(원종 10)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의 기관(記官) 최탄(崔坦) 등이 원종을 폐하고 안경공 창(安慶公淐)을 세운 임연(林衍)을 친다는 구실로 난을 일으킨 뒤, 서경을 비롯한 북계(北界)의 54성과 자비령 이북 서해도(西海島)의 6성을 들어 원나라에 투항하였다.

이를 계기로 원의 세조(世祖)는 이듬해 자비령을 경계로 삼아 그 이북 지방은 모두 원나라의 소유로 한 뒤 서경에 rtg 슬롯를 설치하고 최탄으로 rtg 슬롯총관을 삼았다. 이에 원종은 원의 연경(燕京)까지 직접 가 rtg 슬롯 반환을 주장하였으나 관철되지 않고 오히려 1275년(충렬왕 1) rtg 슬롯총관부로 승격시켰다.

그러나 고려의 끊임없는 반환 요청에 따라 1290년(충렬왕 16) rtg 슬롯 지역을 돌려받게 되었으며 고려 영토에 있던 rtg 슬롯는 요동(遼東)으로 옮겨졌다. 이후 공민왕대 원명교체기(元明交替期)를 활용하여 북진정책의 일환으로 대규모의 rtg 슬롯공격이 실행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여지도서(輿地圖書)』
「공민왕조의 rtg 슬롯정벌에 대하여」(박돈, 중앙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82)
「高麗恭愍王朝の東寧府征伐に就いての考」(池內宏,『東洋學報』8-2, 1918)
집필자
김용덕(전 중앙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rtg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rtg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rtg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rtg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