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뜻 동녕 대성자고성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중국 흑룡강성 목단강시 동녕현(東寧縣) 수분하(綏芬河)에 있는 남북국시대 발해의 성곽. 성곽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뜻습니다.
목차
정의
중국 흑룡강성 목단강시 동녕현(東寧縣) 수분하(綏芬河)에 있는 남북국시대 발해의 성곽. 성곽터.
내용

1972년 여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이 성에 대해 조사하였는데, 보수가 되어 있던 조사 당시의 성벽 높이는 2∼5m였다.

평면은 장방형으로 북쪽 벽의 가운데가 밖으로 돌출되어 슬롯 뜻. 둘레 길이 3,750m, 방향은 동쪽에서 남쪽으로 30° 기울어 슬롯 뜻. 문지(門址)는 확인되지 않았는데 서벽 북쪽에는 하나의 옹성이 있으며, 귀퉁이에는 각루(角樓)의 흔적이 남아 있고, 성밖에는 깊이 2∼3m의 해자가 돌려져 슬롯 뜻.

이 성의 동북쪽 포자연둔(泡子沿屯) 부근과 서쪽의 동녕진(東寧鎭)에서 슬롯 뜻시대의 돌무지무덤[積石墓]들이 발견되었다. 한편 이 곳에서 채집되거나 수습된 유물들로는 도금한 동제 문고리, 동제 허리띠 부품들, 동제 그릇뚜껑, 동경(銅鏡), 철제 문추(門樞), 기와, 동합(銅盒), 도금한 사리동함(舍利銅函), 동불(銅佛) 등이 있다.

대성자고성은 그 형태가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가 있던 동경성(東京城)과 비슷하게 모두 장방형의 평면을 가지며, 북쪽 가운데 부분이 돌출되어 평면이 ‘凸’형을 띠는 것도 당의 장안성이나 발해의 동경성과 같아서 발해의 성이 분형한 것임을 알 슬롯 뜻다.

아울러 이곳에서 발견된 유물들도 발해 시기의 양상을 보이고 있어, 대성자고성은 아마 발해 15부(府) 중의 하나였던 솔빈부(率賓府)가 있던 곳으로 볼 슬롯 뜻을 것이다. 발해 멸망 후 금나라 때에도 사용되었으며, 1986년에 흑룡강성 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黑龍江省志』卷53 文物志(黑龍江省地方志編纂委員會, 黑龍江人民出版社, 1994)
「대성자고성조사기(大城子古城調査記)」(장태상, 『문물자료총간(文物資料叢刊)』4, 문물출판사, 198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뜻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슬롯 뜻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