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 엔트 슬롯 도청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실록편찬을 위하여 임시로 설치하였던 실록청의 한 부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실록편찬을 위하여 임시로 설치하였던 실록청의 한 부서.
내용

넷 엔트 슬롯청은 편찬업무의 분담을 위해 도청, 일방(一房)·이방·삼방으로 편성되었는데, 도청과 각 방에는 여러 명의 당상과 낭청이 임명되었다. 당상에는 지춘추관사로부터 수찬관이, 낭청에는 편수관으로부터 기사관이 속하여 있었다.

넷 엔트 슬롯의 초초(初草)를 직접 편찬하는 것은 각 방 낭청들이며, 도청의 낭청들은 그것을 종합, 심사하고 교정, 보완하여 중초(中草)를 편찬하는 작업을 담당하였다. 도청의 당상과 총재관(摠裁官)은 그것을 바탕으로 문장과 체재를 통일하여 정초(正草)를 작성하였다. 따라서 도청은 넷 엔트 슬롯편찬의 중추적 기능을 담당한 부서였다.

참고문헌

『넷 엔트 슬롯청의궤(實錄廳儀軌)』
『넷 엔트 슬롯사료해설』(신석호, 넷 엔트 슬롯사학회, 1964)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넷 엔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넷 엔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