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휴숙(休叔), 호는 죽헌(竹軒). 경상좌상좌우후 도흠조(都欽祖)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한성우윤 도원결(都元結)이고, 아버지는 도여유(都汝兪)이며, 어머니는 여흥이씨로 증판결사 이석겸(李石謙)의 딸이다.
성리학을 깊이 크레이지 슬롯 머신하였으며 예제(禮制)에 밝았다. 1674년(현종 15)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상에 자의대비(慈懿大妃)가 입어야 할 상복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어나 대공복(大功服)을 입어야 한다는 쪽으로 기울어졌다.
유생의 신분으로 소(疏)를 올려 기년설(朞年說)을 주장함으로써, 김수흥(金壽興) 등 서인 일파를 축출하게 하였다. 뒤에 남인의 천거로 1675년(숙종 1) 강릉참봉이 되고, 이어 주부를 거쳐 용궁현감(龍宮縣監)으로 나가 치적을 올림으로써 통훈대부의 품계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