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 도키 슬롯 도교서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공작(工作)을 맡아보던 관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오키 도키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공작(工作)을 맡아보던 관청.
내용

문종 때 직제상으로 확립되어 영(令) 2인, 승(丞) 4인, 이속으로 감작(監作) 4인, 서령사(書令史) 4인, 기관(記官) 2인을 두오키 도키 슬롯.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에 의하여 잡작국(雜作局)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1310년(충선왕 2) 다시 복구되오키 도키 슬롯.

이 때 관원들의 품계가 각각 한 단계씩 올라 정8품과 정9품으로 되오키 도키 슬롯가 1356년(공민왕 5) 다시 본래대로 바뀌오키 도키 슬롯. 1391년(공양왕 3)선공시(繕工寺)에 병합되오키 도키 슬롯. 주요기능은 세공(細工)을 담당하는 것으로, 목업(木業)·석업(石業)·조각장(彫刻匠)·석장(石匠)·장복장(粧覆匠)·이장(泥匠) 등의 전문기술인이 소속되어 일을 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오키 도키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오키 도키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오키 도키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오키 도키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