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대흥사 용화당 ( )

목차
관련 정보
해남 대흥사 용화당
해남 대흥사 용화당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에 있는 조선후기 승려 완호대사가 건립한 사찰건물. 불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대흥사용화당(大興寺龍華堂)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당우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섀도 어 슬롯 강화유산(1982년 10월 15일 지정)
소재지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구림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에 있는 조선후기 승려 완호대사가 건립한 사찰건물. 불전.
내용

정면 8칸, 측면 3칸의 익공식(翼工式) 팔작지붕섀도 어 슬롯 강화로 1982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승려의 교육학당인 강원(講院)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지은 요사채로서, 초의선사(草衣禪師)의 스승 완호대사(玩虎大師)가 1811년(순조 11)에 착공하여 1813년에 준공하였으며, 이용에 편리하도록 증축된 부분이 엿보인다.

섀도 어 슬롯 강화의 남측부에는 온돌방 3개와 부엌을 놓고 섀도 어 슬롯 강화의 중앙부에는 큰 선방과 그 북쪽으로 작은방 2개가 있다. 이 선방의 동서면에는 큰 퇴와 작은 툇마루를 두었고 부엌쪽에는 고상(高床)으로 시설된 꽤 넓은 다락방이 있으며 부엌 한쪽에 계단을 두었다.

기단은 외벌대 죽담으로 되어 있으며, 주초는 자연석 주초이다. 그 위에 두리기둥을 세웠으나 좌측에서 6번째 기둥만이 네모기둥으로 되어 있으며, 두리기둥에는 배흘림을 두었다.

전면 처마도리는 각을 죽인 납도리인데 받침장여를 대고 덧장여로 받쳤으며, 소로[小累]를 끼워 창방을 보냈다. 종도리도 역시 각을 죽인 납도리로 장여만 받쳤으며 동자주(童子柱) 대공으로 지지되었다.

대들보는 대강 양변치기한 자연목을 사용하였다. 후면 처마도리는 모접의 납도리를 장여가 받치도록 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전면 외부 포작의 공법이 초익공인데 그 초각이 매우 간박하여 좌로부터 5번째까지만 익공양식이다.

지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약간의 경사를 이루고 있는데, 주초의 높이도 지형에 따라 시공함으로써 하인방(下引榜) 높이는 동일하나 기둥의 높이가 약간씩 다른 것이 특이하다. 지붕은 섀도 어 슬롯 강화의 남쪽 ㄱ자로 꺾어 돌출시킨 부분은 맞배로 얹어 연결하였고, 다른 쪽은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관련 섀도 어 슬롯 강화 (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섀도 어 슬롯 강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섀도 어 슬롯 강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섀도 어 슬롯 강화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