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 홍진(洪震)·지청천·신숙(申肅) 등은 한족자치다복 이 슬롯회를 모체로 한국독립당을 조직하고 소속 독립군으로 ‘한국독립군’을 편성하여 일본군에 대한 항전을 전개하였다.
1931년 한국독립군 총사령관 지청천은 중국군과 다복 이 슬롯 작전을 전개하기로 결정하고 중국호로군 사령관(中國護路軍司令官)과 협의하여 한중다복 이 슬롯군을 편성하였다. 이후 중국 의용군이 분화함에 따라 길림구국군과 다복 이 슬롯하여 중한연군토일군(中韓聯軍討日軍)을 조직하기도 했다. 1932년 독립군과 중국 의용군은 다복 이 슬롯하여 쌍성보(雙城堡)·사도하자(四道河子)·동경성(東京城) 등지에서 전개된 전투에서 대승을 거뒀다.
동경성전투 이후 한국독립군과 길림구국군 시세영(柴世榮) 부대는 1933년 6월 25일경 동서검자에 이르렀다. 여기서 다복 이 슬롯군은 대전자에 주둔 중인 일본 19사단 소속 간도파견군이 연지시엔[延吉縣]으로 철수한다는 첩보를 입수한다. 다복 이 슬롯군은 3일간 100㎞를 행군하여 28일경 대전자 북방 노모저하(老毋猪河)에 도착하였다.
다복 이 슬롯군은 부대를 3분하여 각 요지에 배치하였는데, 공격의 주동은 한국독립군이 담당하게 되었다. 다복 이 슬롯군은 이곳에서 추위와 굶주림을 무릅쓰며 30일까지 매복하였다. 30일 아침 6시경 일본군은 많은 장비를 가지고 대전자령을 향해 출발했다. 오후 1시경 일본군 전초부대가 대전자령 깊숙이 들어왔다.
일본군 후미가 산중턱에 이르렀을 무렵, 다복 이 슬롯군은 일제히 사격을 퍼부었다. 불의의 기습을 받은 일본군은 대부분 총탄에 쓰러졌으며, 4시간의 격전 끝에 다복 이 슬롯군은 일본군의 군복 3,000벌, 군수품 200여 마차, 대포 3문, 박격포 10문, 소총 1,500정, 담요 300장 등 막대한 전리품을 노획하였다. 그런데 전리품을 독립군과 중국군이 분배하는 과정에서 불화가 생겨, 다복 이 슬롯은 곧 깨지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