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파 온 슬롯 대이진 ()

목차
고대사
인물
발해의 제11대(재위: 830년~858년) 왕.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발해의 제11대(재위: 830년~858년) 왕.
개설

연호는 함화(咸和)이며, 시호는 전하지 않고 있다. 신덕(新德)의 아들이며, 할아버지는 제10대 선왕(宣王)이다.

즉위하자 여러 사신과 학생을 당나라에 파견하는 등 선왕에 이은 율령제국가수립에 노력하였고, 당나라와의 경제·던파 온 슬롯 교류에 힘썼다. 왕자 명준(明俊)을 832·836·837년 세차례에 걸쳐 수십인과 함께 당나라에 파견하였으며, 왕자 광성(光晟)·연광(延廣)·대지악(大之萼) 등도 833·839·846년에 각각 당나라에 파견하여 당나라의 던파 온 슬롯수용에 적극성을 띠었다.

이때 학생 해초경(解楚卿)·조효명(趙孝明)·유보준(劉寶俊)·이거정(李居正)·주승조(朱承朝)·고수해(高壽海) 등도 당나라에 유학하였고, 당나라에서는 장건장(張建章)이 서적을 가지고 발해에 들어오는 등 발해와 당나라의 던파 온 슬롯적 교류는 활발히 전개되었다.

한편, 일본과도 빈번한 내왕이 있어, 선왕 때 이어 왕문구(王文矩)가 계속 던파 온 슬롯되었고 하복연(賀福延) 등도 던파 온 슬롯되었는데, 그 목적은 주로 신라 견제와 경제적 이해관계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구당서(舊唐書)』
『신당서(新唐書)』
『渤海國志長編』(金毓黻, 華文書局, 1934)
『발해정치사연구』(송기호, 일조각, 1994)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던파 온 슬롯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던파 온 슬롯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