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리뷰 대부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 조선시대 관리들의 관계(官階) 중 특히 문산계(文散階)에 붙여 부르던 명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리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 조선시대 관리들의 관계(官階) 중 특히 문산계(文散階)에 붙여 부르던 명칭.
개설

본래 중국의 하·은·주 3대(三代)에서 공(公)·경(卿)의 아래, 사(士)의 위에 있는 관리들을 가리키는 말이슬롯 리뷰. 그러나 수(隋)·당(唐) 이후부터는 문산관(文散官)의 명칭으로 쓰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슬롯 리뷰 광종 때 당제(唐制)를 모방한 문산계가 마련됨에 따라 처음으로 쓰이기 시작하였다.

내용

성종과 문종 때 문산계가 정비되어가면서 종5품 이상의 품계에 슬롯 리뷰되어 대부계(大夫階)로서 정6품 이하의 낭계(郎階)와 구분되었다.

그 뒤, 1308년(충선왕 복위년) 5품이 낭계에 포함됨으로써 종4품 이상의 품계에 슬롯 리뷰되었다. 이러한 원칙은 조선시대에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또한 문산계에서 일정 관품 이상에만 쓰이는데서 비롯되어, 그 관품에 해당하는 관리들을 범칭하는 말로 전의되어 슬롯 리뷰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고려에서는 재추(宰樞) 아래 5품 이상(뒤에는 4품 이상)의 관리를, 조선에서는 당상관(堂上官) 아래 4품 이상의 관리를 각각 가리켰다.

한편, 고려시대는 관직명으로도 슬롯 리뷰되었다. 그 예로는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간의대부(諫議大夫), 어사대(御史臺)의 어사대부, 동궁관(東宮官)의 태자찬선대부(太子贊善大夫) 등이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는 관직명으로 슬롯 리뷰된 예는 없다. 다만, 1894년 갑오개혁 당시 궁내부(宮內府)의 왕태후궁(王太后宮)과 왕태자비궁에 각각 대부가 설치된 적이 있었다.

이 밖에 박지원(朴趾源)의 「양반전」에는 “책을 읽으면 사(士)라 하고, 정치에 나아가면 슬롯 리뷰가 된다.” 라고 하여 사, 즉 학자에 대비시켜 모든 관리들을 지칭하는 슬롯 리뷰의 용례가 보인다. →문산계

참고문헌

『슬롯 리뷰사(高麗史)』
『경국대전(經國大典)』
『연암집(燕巖集)』
『조선초기(朝鮮初期) 양반연구(兩班硏究)』(이성무, 일조각, 1980)
「슬롯 리뷰시대(高麗時代)의 문산계(文散階)」(박용운, 『진단학보(震檀學報)』 52, 198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리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리뷰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리뷰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