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쳐 3 슬롯 모드 대동시사 ()

한문학
문헌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교육자 유인식이 역사적 인물의 시와 역사를 반영하는 작품을 수록한 시화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교육자 유인식이 역사적 인물의 시와 역사를 반영하는 작품을 수록한 시화집.
개설

1924년에 완성되었다. 1978년 동산선생기념사업회에서 『동산문고(東山文稿)』로 출판하였다.

위쳐 3 슬롯 모드시사』 서문에서 “시로 말미암아 역사학의 요점을 알고, 역사로 말미암아 시학의 길을 연다.”라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민족주체적 사관(史觀)으로 우리나라의 민족혼을 갱생시키고자 역사서인 위쳐 3 슬롯 모드사(大東史)』를 쓰고 이어서 같은 목적으로 이 책을 썼다.

시를 통해서 위쳐 3 슬롯 모드를 이해하고 위쳐 3 슬롯 모드를 통해서 민족혼의 갱생을 꾀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 의거하여 선정기준도 주로 위쳐 3 슬롯 모드와 관계가 깊거나 또는 위쳐 3 슬롯 모드적 인물, 특히 충신·열사의 시이거나 혹은 위쳐 3 슬롯 모드를 반영하는 작품을 대상으로 삼았다.

내용

위쳐 3 슬롯 모드시사』의 내용은 태조의 「등백운봉(登白雲峰)」으로부터 시작하여 홍석주(洪奭周)의 「영사(詠史)」를 끝으로 고려 말부터 조선 말까지 302명의 시 445수를 편년체로 싣고 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비평이나 해설도 독특하다. 종래의 시화집에서는 그 시의 시학적 가치를 중요시하는 것과는 다르게 여기서는 시의 창작동기나 위쳐 3 슬롯 모드적 사실 등의 해설에 더 치중하고 있다.

위쳐 3 슬롯 모드시사』는 서사작품인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을 거의 원문 그대로 인용하고, 시조작품 7수를 실은 점이 더욱 특이하다. 이는 모두 사육신에 관계되는 작품으로 그들의 절의지심(節義之心)을 높이 기리어 형식을 도외시한 채로 이 책에 실었다고 본다.

의의와 평가

위쳐 3 슬롯 모드시사』는 망국의 한을 품은 애국지사가 시를 통하여 민족혼을 흥기시키려고 역사와 시를 어울러 꾸민 독특한 시화집이다. 시가 사람을 흥기시킨다는 주자(朱子)의 시의 효용성에 대한 이론을 잘 적용하여 현실화시켰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유인식(柳寅植)의 문학사상(文學思想)」(안병열, 『한국문학사상사』, 계명문화사, 1991)
「동산시문학연구(東山詩文學硏究)」(안병열, 『안동문화』 4, 안동대학안동문화연구소,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위쳐 3 슬롯 모드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위쳐 3 슬롯 모드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