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닐라 슬롯 머신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 ( )

목차
관련 정보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 중 투겁창 및 꺾창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 중 투겁창 및 꺾창
선사문화
작품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 · 동투겁창 등이 출토된 선사유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 - 검 및 칼집 부속(大邱 飛山洞 靑銅器 一括 - 劍 및 劍鞘附屬)
분류
유물/생활공예/금속공예/무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71년 12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마닐라 슬롯 머신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 · 동투겁창 등이 출토된 선사유적.
개설

1956년 이 지역의 와룡산 기슭에서 주민이 우연히 발견한 것으로 직경 5-6m 쯤 되는 범위 안에서 각종 청동기철기가 발견되었다. 출토된 유물은 마닐라 슬롯 머신동검(細形銅劍: 마닐라 슬롯 머신식 동검) 5점, 동투겁창( 동모(銅矛)) 3점, 동꺾창(동과(銅戈)) 2점 등의 청동무기와 함께 호랑이모양의 띠고리, 쇠뿔모양의 동기 등이다. 1971년 12월 21일에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삼성미술관 리움(Leeum: 리움미술관)에 소장되어 마닐라 슬롯 머신.

내용

마닐라 슬롯 머신동검 3점은 등날이 칼몸까지 나 있고 그 중 1점은 피홈[血溝]이 있는 것으로, 전자 형식 중 2점은 칼몸과 칼자루, 그리고 검자루장식(劍把頭飾)이 같이 동반되고 있다. 검자루장식은 2마리 새가 서로 등을 대고 머리를 뒤로 돌린 형상을 한 이른 바 안테나식으로 시베리아 남부의 스키타이형식과 통하고 있다.

동투겁창은 긴 소케트 끝에 돋을 띠가 장식되고 고리가 달린 것으로 마닐라 슬롯 머신(細形)과 중마닐라 슬롯 머신(中細形), 중광형(中廣形) 3종류가 있다. 중마닐라 슬롯 머신 1점은 길이 67㎝로 최대급에 속하는 것이며, 다른 2점 또한 길이 41㎝, 57.4㎝로 역시 전형적인 마닐라 슬롯 머신동모보다 큰 것이다. 동투겁창 3점이 형식과 크기가 각기 달라서 이들 청동기가 한 무덤에서 나온 것이 아닐 가능성도 시사해준다.

동꺾창(銅戈)은 길이 36.7㎝의 중광형과 길이 18㎝의 소형이 함께 출토되었다. 중광형동과는 일본 구주(九州)지방에서 많이 출토되고 제작되었다고 하여 일본제품일 가능성이 많다. 이를 통해 낙동강을 따라 일본과의 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마닐라 슬롯 머신.

한편 호랑이형 띠고리는 앉은 자세로 입을 크게 벌리고 고리를 둥글게 말아 올린 마닐라 슬롯 머신을 취하고 있는데, 비슷한 예는 영천 어은동 유적(永川漁隱洞遺蹟)경주 사라리 고분군(慶州舍羅里古墳群)에서 출토된 바 있다. 특히 경주 사라리에서는 이곳 비산동과 마찬가지로 피홈[血溝]이 있는 마닐라 슬롯 머신동검이 함께 출토되었는데, 무덤형식은 판상쇠도끼[板狀鐵斧]를 수십 매 바닥에 깔았던 대형화된 널무덤[木棺墓]의 말기 형식으로 이 비산동 무덤의 경우도 그와 비슷한 형식으로 추정되고 마닐라 슬롯 머신. 이 유적의 연대는 대구 만촌동 유적·대구 평리동 유적과 함께 서기전 1세기경에 해당된다.

참고문헌

『마닐라 슬롯 머신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특별전 마닐라 슬롯 머신의 청동기문화』(국립중앙박물관·국립광주박물관, 범우사, 1992)
「조형 안테나식 마닐라 슬롯 머신동검의 문제」(김원룡, 『백산학보』8, 1970)
『韓國の考古學』(金廷鶴, 學生社, 197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마닐라 슬롯 머신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마닐라 슬롯 머신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마닐라 슬롯 머신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