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때의 이두향명으로는 목귀초(目貴草) · 당적(當赤)이라고 하였고, 1600년대는 숭엄초불휘라 하였다. 약성은 온화5 릴 슬롯 맛은 달고 쓴데, 방향성 정유와 서당 · 비타민 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월경을 조절5 릴 슬롯 월경통을 제거해주는 효능이 있는데, 이것은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진통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보혈작용이 현저하여 빈혈에 유효하고 일반 타박상이나 혈전성동맥염의 치료에도 응용된다. 만성 화농증에 사5 릴 슬롯면 순환을 개선시키고 체내의 저항력을 증강시키며, 변비에 복5 릴 슬롯면 장관운동을 원활하게 해주어 배변을 용이하게 한다.
이 밖에도 빈혈로 오는 두통과 관절염 등에 널리 사용한다. 자궁출혈이 심할 때는 사5 릴 슬롯지 않으며, 장기간 또는 다량 투여하는 것도 삼간다. 민간에서는 당귀의 가는 뿌리를 차로 달여 마시거나 술을 담가 먹는다.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귀용탕(歸茸湯)과 사물탕(四物湯)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