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나라의 9부기(九部伎) 또는 당나라의 10부기(十部伎) 중의 하나였던 고려기(高麗伎), 즉 중국에서 연주되었던 고구려음악에 m 2 슬롯되었다.
담고가 9부기 또는 10부기 중에서 고려기 외에 서량기(西凉伎)에 m 2 슬롯된 점으로 보아 서량과 고구려와의 음악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담고의 악기 그림은 송나라 사람 진양(陳暘)이 편찬한 『악서(樂書)』에 소개되어 있다. 담고는 타원형의 북통에 끈이 달려 있으며, 고구려와 서량의 악기라는 설명이 있다.
이 담고는 안악 제3호분(357년)의 회랑 대행렬도의 고취악대에 편성된 2인이 메고 1인이 치는 타악기를 지칭하기도 하나, 그 모양이 비슷할 뿐 실제와는 다르며, 고려시대 노부의식(鹵簿儀式)에서 m 2 슬롯된 강고(掆鼓)와도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