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 엔트 슬롯 능마아청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후기 무관에게 병학(兵學)을 고강(考講)하고 권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 무관에게 병학(兵學)을 고강(考講)하고 권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내용

조선 전기에도 넷 엔트 슬롯원을 중심으로 군사(軍士)의 진법(陣法) 넷 엔트 슬롯을 위해 마아(麽兒)라는 도상넷 엔트 슬롯용(圖上訓鍊用) 도구를 사용해 형명(形名)과 진퇴를 익혀왔다. 후기에는 이를 제도화해 무신의 질적인 향상을 꾀하였다.

1629년(인조 7) 1월이귀(李貴)·이서(李曙) 등의 건의로 설치되어, 오위도총부·넷 엔트 슬롯원의 낭청(郎廳)·내삼청(內三廳)의 금군(禁軍) 및 여러 대장의 군관 등이 모두 학습하도록 하였다.

그 제도는 나무를 깎아 우상(偶像)을 만들어 진세(陣勢)에 배치하고 한 달에 여섯 차례 회좌(會坐)하여 진법을 강의하고, 배운 바에 따라 금군에게는 상사(賞仕)를 지급하고, 그 나머지는 1년을 통계하되 등급을 나누어 시상한다는 것이다. 반면, 불근자(不勤者)는 실직(實職)이면 교체하고, 금군 및 넷 엔트 슬롯원의 봉사 이하는 그 사일(仕日 : 근무일수)을 삭감하도록 한 것이다.

이같이 설치된 능마아청은 『속대전』에 산직청(散職廳)으로 정비되었다. 관원으로는 당상관 3인이 있었다. 그 중 1인은 넷 엔트 슬롯원의 도정이 예겸(例兼)했으며, 낭청 4인이 있는데 2인은 넷 엔트 슬롯원의 습독관이 예겸하도록 하였다. 참외관(參外官)의 임기는 1,350일로, 만료되면 병서를 강송(講誦)하고 자세히 상고해 6품관으로 승급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능마아청은 한 달에 여섯 차례의 능마아강(能麽兒講)을 관장해 무신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넷 엔트 슬롯. 능마아강의 교과서는 『병학지남(兵學指南)』이었다.

1765년(영조 41)에는 군사넷 엔트 슬롯 기관인 넷 엔트 슬롯원에 합부(合付)하고 넷 엔트 슬롯도감·어영청·금위영 삼군문의 중군(中軍)이 당상을 예겸하도록 하였다. 낭청 2인은 중인과 서얼 가운데 30세가 된 자를 차출하도록 하였다. 뒤에 다시 예겸하는 낭청 1인은 6품직으로 하되 참외의 전직자를 분별해 임명하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속대전(續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육전조례(六典條例)』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넷 엔트 슬롯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넷 엔트 슬롯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