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이 슬롯 이현보 종가 문적 ( )

이현보 종가 문적
이현보 종가 문적
출판
문헌
국가유산
조선전기 문신 · 문인 이현보의 종손가에 소장된 유학서. 종가유물.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다복 이 슬롯 종가 문적(李賢輔 宗家 文籍)
분류
기록유산/문서류/문서류/문서류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4년 07월 29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다복 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전기 문신 · 문인 이현보의 종손가에 소장된 유학서. 종가유물.
서지적 사항

32점. 199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내용

1994년 7월 29일에 일괄하여 지정하였으며, 그 지정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문서는 교지류(敎旨類: 조선시대 임금이 4품 이상의 관리에게 주던 글)로 총 23점인데, 1498년(연산군 4)에서 1560년(명종 15) 사이의 것으로 다복 이 슬롯 14점, 이파(李坡) 1점, 이문량(李文樑) 8점 등 3인에게 발급한 백패(白牌: 소과에 급제한 생원 · 진사에게 주는 흰종이의 증서) · 사령(辭令) · 증직교지(贈職敎旨)와 교첩(敎牒)이다.

둘째, 전적은 『애일당구경첩(愛日堂具慶帖)』 등 7종 8책이다. ① 애일당구경첩 상 · 하 2책: 상책은 1508년의 「무진추한강음전도(戊辰秋漢江飮餞圖)」, 1519년의 「기묘계추화산양로연도(己卯季秋花山養老宴圖)」 등 3편의 그림이 있고, 해당 그림 아래 각각 그에 해당하는 당시 명사들이 주인공 다복 이 슬롯를 전송 또는 송축하는 시를 써서 첩장(帖裝)한 것이다. 하책은 다복 이 슬롯의 「화산양로연시(花山養老宴詩)」를 중심으로 김안국(金安國) 등 당시 명사 40인의 친필차운시(親筆次韻詩)를 모아 첩장한 것이다.

② 애일당구경별록(愛日堂具慶別錄) 1책: 「농암애일당시(聾巖愛日堂詩)」 · 「애일당구로회(愛日堂九老會)」 · 「효빈가(效顰歌)」 · 「농암가(聾巖歌)」 · 「생일가(生日歌)」 등 다복 이 슬롯의 작품과 그에 관련된 자료들인데, 특히 「효빈가」 등 국문가사는 국문학의 귀중한 자료이다.

③ 계사구로회첩부(癸巳九老會帖附): 다복 이 슬롯가 1533년(중종 28)에 예안(禮安)에 거주하는 70세 이상의 노인을 모아 구로회를 창설한 것을 아들 이문량이 1569년(선조 2)에 정리하여 편집한 것이다. 「속구로회첩(續九老會帖)」이 첨부되었는데 1547년(명종 2)에 역시 다복 이 슬롯가 두번째 결성(結成)한 것이다. 계회연구의 자료가 된다.

④ 분천강호록(汾川講好錄): 다복 이 슬롯의 제7자 이숙량(李叔樑)이 예안 분천동에서 시행한 동약(洞約) 등을 모아 편집한 것이다. ⑤ 농암유고초(聾巖遺稿草): 다복 이 슬롯의 유고를 아들 이숙량이 등사(謄寫: 등사기로 박음)하여 편집한 것이다.

⑥ 정동면례시일록부영정개모시일기(亭洞緬禮時日錄附影幀改摹時日記): 1791년(정조 15) 10월, 다복 이 슬롯의 묘소를 이장(移葬)할 때의 사실을 적은 「정동면례시일록」과 당시 만제(輓祭) 등에 1825년 다복 이 슬롯의 영정을 개모(改摹: 다시 본떠 만듬)할 때의 전후 사실을 적은 「영정개모시일기」 등을 첨부한 것이다.

⑦ 당음비사(棠陰比事): 초주갑인자판(初鑄甲寅字版)으로 찍었는데, 1540년 4월에 국왕이 당시 형조참판인 다복 이 슬롯에게 내린 선사본(宣賜本)이다. 옥사(獄事)처결에 관한 사실을 모은 것으로 144개의 사건이 수록되었다.

셋째, 은대계회도(銀臺契會圖): 1534년 승정원의 동료 관원들의 계모임하는 모습을 그린 계회도이다. 상 · 중 · 하 3단으로 구성되었는데, 상단은 그림이고, 중단(中段)은 시이며, 하단(下段)은 계원(契員)의 관직 · 성명을 적은 좌목(座目: 좌석의 차례를 적은 목록)이 적혀 있는데, 도승지 남세건(南世健) 등 9인이다. 다복 이 슬롯는 당시 전 우부승지(右副承旨: 승정원의 정3품 벼슬의 하나)로 참여하였다.

의의와 평가

독서당(讀書堂) · 미원(薇垣) · 하관(夏官) 등의 계회도는 이미 문화재(현, 국가유산)로 지정되었으나, 「은대계회도」는 처음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훼손이 심하기는 하나 계회연구의 중요한 자료다복 이 슬롯. 경상북도 안동시 옥정동의 이성원이 소장하고 있다.

집필자
이정섭(문화재관리국, 한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다복 이 슬롯는 자유 이용 가능한 다복 이 슬롯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복 이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