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장 1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은 없다. 수록된 각 항목의 rt 슬롯 추천이 『산림경제(山林經濟)』의 rt 슬롯 추천과 같다.
내용 가운데 「치농요략(治農要略)」에서는 ‘산림경제치농서왈(山林經濟治農序曰)’로 시작되는 치농조(治農條)의 서문을 요약하여 세주(細註)를 달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농서는 『산림경제』에서 농사와 원예·축산·양잠 등의 중요 사항만 rt 슬롯 추천한 것으로 보이며, rt 슬롯 추천 시기는 『산림경제』가 편찬된 1700년대 초 이후의 시기로 추정된다.
이 책은 『산림경제』 권1의 치농조에서 험세(驗歲)·택종(擇種)·수분(收糞)·경파(耕播)·종도(種稻)·기강·조·수수 등 24개 항목을 rt 슬롯 추천하고, 권2의 종수조(種樹條)에서 핵종법(核種法)·지종법(枝種法)·접수법(接穗法)·가수법(嫁樹法)·뽕나무·호두나무·배나무·앵두 등 20개 항목을 rt 슬롯 추천하였으며, 양잠은 양잠조에서, 축산관계는 목양조(牧養條)에서 소·돼지 2개 항목 등을 rt 슬롯 추천하고 있다.
따라서 권1의 복거(卜居:살 만한 곳을 가려서 정하는 것)나 섭생(攝生), 권2의 양화(養花)·치선(治膳), 권3·4의 구급(救急)·치약(治藥)과 구황(救荒) 이하는 rt 슬롯 추천에서 제외시키고 있다.
rt 슬롯 추천자의 rt 슬롯 추천태도는 『산림경제』의 농사·축산·양잠 부분만을 축소, rt 슬롯 추천한 것이지만, 『산림경제』의 본문을 세주로 처리하기도 하고 세주 및 본문 중의 일부를 삭제하는 독자성을 보이고 있기도 한다. 또 세주의 한글표기는 요즘 사용하는 말에 가깝게 쓰이고 있다.
이 책은 『산림경제』의 비농업 부문을 rt 슬롯 추천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순수한 농서로 꾸려졌다는 점과 내용의 골자만을 알기 쉽게 rt 슬롯 추천했다는 점, 그리고 『산림경제』 이후의 농업기술 사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면에서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