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그마틱 슬롯 노인학교 ()

연희노인대학
연희노인대학
사회교육
개념
노년층의 사회적응을 돕고 노후 생활의 안정을 보장하기 위하여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각종 교육을 실시하는 단체나 기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노년층의 사회적응을 돕고 노후 생활의 안정을 보장하기 위하여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각종 교육을 실시하는 단체나 기관.
개설

의료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노령인구가 점차 증가되고 산업화·핵가족화에 따른 프라그마틱 슬롯문제가 커짐에 따라, 프라그마틱 슬롯들의 사회적응과 자아개발을 돕기 위한 사회교육의 필요성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프라그마틱 슬롯학교는 프라그마틱 슬롯들의 사회생활 적응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공부할 기회를 제공하는 다양한 학교를 말한다.

연원 및 변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프라그마틱 슬롯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 시작된 것은 1965년 4월 부산 범일동에서 ‘한얼경로교실’이 설립된 때부터였다. 그 뒤 1970년 9월 부산 범일동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프라그마틱 슬롯대학인 ‘한얼프라그마틱 슬롯대학’이 설립되었으며, 1972년 10월서울 종로 태화관에서 서울평생교육원이 개설되고 ‘노후생활강좌’가 개시되었다. 이후 1973년 11월서울 명동 가톨릭여성회관내에 덕명의숙이라는 명칭의 프라그마틱 슬롯교육기관이 설립되었고, 1974년에는 서울 서대문구 문화촌에 인왕프라그마틱 슬롯학교가 설립되었다.

뒤이어 한국성인교육회·대한프라그마틱 슬롯회·적십자장년봉사회·YMCA·YWCA·한국부인회·새마을봉사단과 일부 초·중·고·대학 등에서 프라그마틱 슬롯하교 설립의 붐이 일어나 프라그마틱 슬롯교육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오늘에 이르고 있다.

내용

현재 실시하고 있는 프라그마틱 슬롯교육을 담당기관의 유형별로 보면, 프라그마틱 슬롯교육을 전담하는 기관에서 실시하는 교육(서울평생교육원, 연회프라그마틱 슬롯대학 등), 학군 단위 프라그마틱 슬롯교육(대한프라그마틱 슬롯회 프라그마틱 슬롯교실), 대학에서의 프라그마틱 슬롯교육(대구대학교, 수원간호전문대학 등), 사회단체에서의 프라그마틱 슬롯교육(YMCA, YWCA, 한국봉사회 등), 그리고 양로원이나 프라그마틱 슬롯정과 같은 복지시설에서 비정규적으로 이루어지는 특별 강좌 등이 있다.

교육목적은 프라그마틱 슬롯들에게 지역사회에서 존경받는 프라그마틱 슬롯으로서 품위향상과 그들에게 현대사회에 적응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프라그마틱 슬롯 각자가 지니는 잠재능력을 재계발하고 프라그마틱 슬롯 건강관리에 관한 지식을 부여함으로써 여생을 보람있게 보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으로 두고 있다. 교육내용은 교양과목 30%, 국내외 정세 30%, 기능습득 20%, 건강관리 및 기타 20%로 되어 있다.

현황

2008년 현재 시군구별 프라그마틱 슬롯교실 수는 1,082곳, 대한프라그마틱 슬롯회 산하 프라그마틱 슬롯대학 수는 296개, 프라그마틱 슬롯들이 주로 이용하는 사회복지관은 410곳, 프라그마틱 슬롯복지관 211곳,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은 19,416개인데 그중 프라그마틱 슬롯들 대상 프로그램은 124개이다. 또 기독교 예수교 장로회 소속 프라그마틱 슬롯학교는 561곳, 대한기독교 감리교 프라그마틱 슬롯학교는 134곳, 조계종 중심의 프라그마틱 슬롯대학은 22곳,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 프라그마틱 슬롯학교는 269개로 추정되고 있다. 그리고 교육과학 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전국 2,620개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프라그마틱 슬롯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1,388개로 나타났다.

의의와 평가

프라그마틱 슬롯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프라그마틱 슬롯학교 운영 재원의 확대, 교육과정의 정비, 그리고 획일적 교수방법의 개선 등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프라그마틱 슬롯의 건강 및 보건, 프라그마틱 슬롯복지, 가족 생활 등을 포함한 교양교육 등과 같이 몇 개 슬롯로 강좌의 성격을 재구성하고 한 강좌당 시간수를 늘려 프라그마틱 슬롯 학생들이 보다 실제 현실 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안목을 넓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프라그마틱 슬롯학교를 어떻게 할 것인가』(박귀동, 비주얼, 2009)
『2008년 프라그마틱 슬롯복지 시설 현황』(보건복지부, 2008)
『프라그마틱 슬롯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방안』(한정란 외, 보건복지가족부, 2008)
『프라그마틱 슬롯교육의 이해』(한정란, 학지사, 2005)
『한국교육연감』(대한교육연합회, 1997)
「프라그마틱 슬롯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김기진, 한서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