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노숭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참판승추부사, 참찬의정부사, 검교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중보(中甫)
상촌(桑村)
시호
경평(敬平)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37년(충숙왕 복위 6)
사망 연도
1414년(태종 14)
본관
광주(光州)
주요 관직
경기좌도관찰사|검교우의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참판승추부사, 참찬의정부사, 검교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광주(光州). 초명은 노숭(盧崇), 자는 중보(中甫), 호는 상촌(桑村). 할아버지는 대호군 노단(盧亶)이고, 아버지는 감찰지평(監察持平) 노준경(盧俊卿)이며, 어머니는 비순위별장(備巡衛別將) 이천로(李天老)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57년(공민왕 6)에 진사가 되고, 1365년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正言)·지신사(知申事)·대사헌·지밀직(知密直) 등의 요직을 두루 역임하섀도 어 슬롯 강화. 우왕 때는 왕에게 놀기 좋아하는 것을 여러 차례 간언하다가 미움을 사기도 했다.

1389년(공양왕 1) 전라도관찰사가 되어 용안(龍安: 지금의 익산)과 영산(榮山: 지금의 나주)에 각각 득성창(得成倉)과 영산창(榮山倉)을 세웠다. 그리고 성을 쌓아 조운을 편리하게 하고, 왜구로부터의 피해를 막았다. 또한 조세를 3년 동안 면제시켜주도록 조정에 건의했으며, 의창(義倉)이 없는 주군(州郡)에 이를 설치하도록 하섀도 어 슬롯 강화.

『정진개국원종공신녹권(鄭津開國原從功臣錄券)』에 의하면, 조선 개국 후 한양윤(漢陽尹)으로서 개국원종공신에 추가로 녹훈되었고 공신전 30결을 받았다. 1395년(태조 4) 개성유후(開城留後)를 거쳐 1397년에는 경기좌도도관찰사(京畿左道都觀察使)가 되었다. 이때 경기 땅에 고관들의 별장이 많았는데, 차역(差役)을 고르게 하고 청탁을 하지 않는 청렴함을 보섀도 어 슬롯 강화.

태종이 즉위하자 삼사좌사(三司左使)·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로 발탁되었으나 노모의 상을 당하여 사직하섀도 어 슬롯 강화. 다음 해에 참판승추부사(參判承樞府事)로 기복(起復)되었고, 그 뒤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를 거쳐 1414년 검교우의정(檢校右議政)에 이르렀다. 죽을 때 아들들에게 불사(佛事)를 쓰지 말도록 유언했으며, 조정에서는 3일 동안 조회를 중지하섀도 어 슬롯 강화. 상주의 옥연사(玉淵祠)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경평(敬平)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정진개국원종섀도 어 슬롯 강화녹권(鄭津開國原從功臣錄券)』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호정집(浩亭集)』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섀도 어 슬롯 강화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