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메이징 슬롯 노서유고 ()

노서유고
노서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윤선거의 시 · 서(書) · 소장(疏狀)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어메이징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윤선거의 시 · 서(書) · 소장(疏狀)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원집 20권, 속집 3권, 별집 1권, 부록 2권. 총 26권 13책. 목판본. 서발(序跋)이 없어 편찬·간행경위는 분명하지 않다. 장서각 도서 등에 어메이징 슬롯.

내용

원집 권1·2에 시 332수, 권3·4에 소장(疏狀) 39편, 권5∼12에 서(書) 153편, 권13∼16에 잡저 34편, 제문 11편, 권17에 제문 16편, 애사 3편, 묘표지 2편, 권18에 묘지명 8편, 권19·20에 행장 4편, 속집 권1에 시 68수, 소장 6편, 서(書) 10편, 권2·3에 잡저 21편, 별집에 시 20수, 서(書) 15편, 일기 3조(條), 부록으로 상권에 연보·유사, 하권에 행장·묘표음기(墓表陰記) 등이 수록되어 어메이징 슬롯.

소문은 다소 수식과 자존으로 일관한 감이 없지 않으나, 그 당시 추세로 보아 저자의 주장은 시의에 따른 것이었다 하겠다. 저자는 김상헌(金尙憲)·삼학사(三學士)들과 같이 존주대의(尊周大義)를 부르짖고 척화론(斥和論)을 주장하였다. 저자는 강도사(江都事)가 있은 뒤 소명(召命)이 있을 때마다 죄인으로 자처하여 응하지 않고 사의를 표하는 소(疏)를 올려 자기의 주장을 논설로 전개하였다.

저자는 당시 문장과 학식이 송시열(宋時烈)과 쌍벽을 이루던 인물로 많은 서한을 남겼다. 서신을 주고받은 사람으로는 송준길(宋浚吉)·송시열·이민적(李敏迪)·김집(金集)·유계(兪棨)·조복양(趙復陽)·이유태(李惟泰)·권시(權諰)·김상헌·송기후(宋基厚)·박세채(朴世采) 등 당시의 명사들이 총망라되어 어메이징 슬롯.

이 가운데 송준길·송시열과 주고받은 서한이 가장 많은데, 특히 송시열과의 관계는 그 뒤 회니문제(懷尼問題)가 일어난 일과 관련해 연구할 만한 자료가 된다. 김집과의 「사우문답(師友問答)」, 송준길과 윤선도(尹善道)를 논한 것, 김집과 파산비문(坡山碑文)을 논한 것, 권시와 더불어 정인홍(鄭仁弘)을 관련시켜 유영경(柳永慶)을 논한 것 등은 당시 정계의 의식구조와 동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들이다.

잡저의 「후천도설(後天圖說)」은 『주역』의 역상변화(易象變化)에 대해 도표로 표현하고 어메이징 슬롯. 이 역설(易說)에 관해 토론한 내용은 유계와 교환한 서(書)의 「여시남왕복서(與市南往復書)」에 수록되어 어메이징 슬롯. 또한 잡저의 일기는 1652년(효종 3)부터 1657년까지 산발적으로 적은 것이며, 별집에 누락된 일기 3조가 수록되어 어메이징 슬롯.

관련 어메이징 슬롯 (4)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어메이징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어메이징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어메이징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어메이징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