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내상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에 출정군 총사령부의 참모기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에 출정군 총사령부의 참모기구.
내용

군령을 전달하고 군사 행정을 담당하였다. 5군 또는 3군으로 편성되는 출정군에서 총사령관인 중군병마원수(中軍兵馬元帥)나 중군병마사(中軍兵馬使) 아래에는 군기(軍機)에 참여하는 막료로서 여러 명의 병마판관(兵馬判官) 및 병마녹사(兵馬錄事), 남항업사(南行業師), 내상(內廂)의 도령(都領)・지유(指諭) 등이 소속되어 있었는 바, 이들로 조직되는 기구를 내상이라 하였다.

원 간섭기 이전에는 기구 내의 뚜렷한 기능상의 분화가 없었던 듯하나, 이후로는 군사 행정을 전담하는 수령관(首領官) 또는 녹사와 군령 전달을 책임지는 진무소(鎭撫所) 조직으로의 직무 분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된다.

참고문헌

『섀도 어 슬롯 강화사(高麗史)』
『섀도 어 슬롯 강화사절요(高麗史節要)』
「섀도 어 슬롯 강화중기 군직 '지유'와 '행수'」(김낙진,『군사』101, 2016)
「섀도 어 슬롯 강화후기(高麗後期)의 군사(軍事) 지휘체계(指揮體系)」(오종록, 『국사관논총(國史館論叢)』 24, 199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