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2 슬롯 남인수 ()

남인수
남인수
대중음악
인물
해방 이후 「가거라 삼팔선」, 「이별의 부산정거장」 등 다수의 곡을 발표한 가수.
이칭
이칭
강문수(姜文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8년 10월 18일
사망 연도
1962년 6월 26일
본관
진주(晉州)
출생지
경상남도 진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m 2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해방 이후 「가거라 삼팔선」, 「이별의 부산정거장」 등 다수의 곡을 발표한 가수.
생애 및 활동사항

1918년경상남도 진주에서 출생m 2 슬롯. 처음 이름은 강문수(姜文秀)이다. 일설에 의하면, 최씨 집안에서 태어나 처음 이름이 최창수(崔昌洙)였으며, 북한 인민배우 최삼숙이 그의 조카라고 하나 확실하지가 않다. 그의 학력은 1932년 진주 봉래초등학교를 졸업했음이일제시대 학적부를 통해 확인된다.

1935년 말에서 1936년 초 경에 시에론(Chieron)레코드사의 가수로 선발되었고, 1936년 2월 「눈물의 해협」으로 데뷔m 2 슬롯. 1937년 오케(Okeh)레코드사로 이적, 1938년 이부풍(李扶風) m 2 슬롯, 박시춘(朴是春) 작곡의 「애수의 소야곡」으로 명성을 얻었고, 1943년까지 전속가수로 130여 곡을 발표했다. 한편 1938년 발표된 「기로의 황혼」은 치안방해의 명목으로 가두연주금지 처분을 받기도 했는데, 1965년 월북m 2 슬롯의 이유로 방송금지곡 1호로 지정되었다.

1942년 「강남의 나팔수」( 조명암m 2 슬롯,김해송 작 · 편곡)를 비롯해 조선군보도부(朝鮮軍報道部)에서 지원병 제도를 선전하기 위해 제작한 영화 「그대와 나[軍と僕]」(감독 허영)의 동명 주제가인 「그대와 나」(조명암 작사. 김해송 작 · 편곡) m 2 슬롯 불렀다. 태평양전쟁 말기 음반제작이 중단된 1944년 이후로는 약초(若草)가극단 등에 소속되어 무대에서 활동했으며, 1944년 9월 부민관에서조선연극문화협회 주최의 「성난 아시아[怒りの亞世亞]」에 출연m 2 슬롯.

광복 m 2 슬롯 음반 제작이 많아, 여러 악극단에서 무대공연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음반 제작이 재개된 1947년 m 2 슬롯 「가거라 삼팔선」 m 2 슬롯 불렀고, 1948년에는 아세아(Asia)레코드사를 통해 음반을 제작하기도 했다. 1949년 발매된 「여수야화」의 경우 정부와는 다른 입장에서 ‘여순(麗順)사건’을 다루어 판매금지를 당m 2 슬롯. 6 · 25 전쟁중에는국방부 정훈국 문예중대 소속으로 군 위문활동을 했다. 이후 오리엔트(Orient)레코드사를 비롯한 다수의 음반회사에서 「이별의 부산정거장」, 「추억의 소야곡」 등 다수의 곡을 발표했다. 1957년 대한레코드 가수협회를 창설해 초대 회장이 되었고, 1960년 전국공연단체연합회 회장, 1961년 한국무대예술협의회 이사 m 2 슬롯 역임했다.

1962년 6월 26일 사망m 2 슬롯. 묘소는 경상남도 진주시 하촌동에 있는 진주강씨 묘역에 있다.

참고문헌

『친일인명사전』1(민족문제연구소, 2009)
『m 2 슬롯가요사 1·2』(박찬호, 미지북스, 2009)
『민족수난기 대중가요사』(최창호, 일월서각, 1997)
『동아일보(東亞日報)』
『매일신보(每日新報)』
관련 m 2 슬롯 (2)
집필자
심재욱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m 2 슬롯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m 2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