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방 삼현육각 섀도 어 슬롯 강화와 구별된다. 남도 승무(僧舞)나 검무(劍舞)와 같은 민간무용의 반주, 거상(擧床)으로 치는 삼현육각, 순음악으로 연주하는 줄풍류 섀도 어 슬롯 강화, 성주풀이의 간주 등에 두루 쓰였다.
악기는 섀도 어 슬롯 강화간주와 거상·무용 반주에는 해금·대금·목피리·곁피리·장구·북이 편성되며, 풍류섀도 어 슬롯 강화에는 거문고·가야금·세피리·젓대·해금·양금·장구·단소가 편성된다. 장단은 3분박의 조금 느린 4박자로 섀도 어 슬롯 강화장단에 맞으며 선율은 고정되어 있다.
선법은 편의상 서양음악의 계이름으로 표시한다면 ‘솔·라·도·레·미’로 되어 있고, ‘솔’로 마쳐 경토리에 가깝다. 이 곡은 매우 화창한 느낌을 준다. →섀도 어 슬롯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