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사이트 제작 ()

목차
관련 정보
언락 / 편락
언락 / 편락
국악
작품
가곡(歌曲) 곡조 이름 중의 하나.
이칭
이칭
낙시조(樂時調)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사이트 제작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가곡(歌曲) 곡조 이름 중의 하나.
내용

「계락(界樂)」·「슬롯 사이트 제작(羽樂)」·「언락, 엇락(言樂, 旕樂)」·「편락(編樂)」의 통칭이다.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중 유예지(遊藝志)에 「계락」과 「슬롯 사이트 제작」이 있고, 윤용구(尹用求)의 『현금오음통론(玄琴五音統論)』에는 「계락」·「슬롯 사이트 제작」·「언락」이 있으며, 『삼죽금보(三竹琴譜)』에 「계면낙시조(界面樂時調)」·「우조낙시조(羽調樂時調)」·「엇락」이 있다.

또한 『가곡원류』 권두의 가지풍도형용십오조목(歌之風度形容十五條目)에 「낙시조(樂時調)」·「편락시조(編樂時調)」가 있고, 본편에는 「계락」·「슬롯 사이트 제작」·「엇락」·「편락」이 있다.

낙은 낙시조(樂時調)의 준말이고 「슬롯 사이트 제작」은 슬롯 사이트 제작시조(羽樂時調), 「계락」은 계락시조(界樂時調), 「언락, 엇락」은 엇락시조(旕樂時調), 「편락」은 편락시조(編樂時調)의 준말이다. 또한 「슬롯 사이트 제작」은 우조의 낙이라는 뜻이고, 「계락」은 계면조의 낙, 「언락」은 엇(旕, 言)의 낙, 「편락」은 편(編), 즉 엮음의 낙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평롱(平弄)」의 짝이 「언롱(言弄, 旕弄)」이라면, 「슬롯 사이트 제작」의 짝은 「언락」이나, 「계락」의 짝은 없다. 「편락」의 편은 ‘엮는다’ 또는 ‘촘촘하다’의 뜻으로 그 장단이 일반가곡 장단보다 촘촘하다.

즉, 편에서는 일반 가곡장단인 16박자 한 장단에서 10박자 한 장단으로 변하고, 그 속도도 빨라지나 장단 점수(點數)는 같다. 그러나 현행 「슬롯 사이트 제작」 장단은 대여음이 16박자 한 장단이고 초장에서 5장까지는 10박자 한 장단인 편장단으로 되어 있다.

이 밖에도 낙 중에는 「슬롯 사이트 제작」 5장에서 계면조로 변조되는 「환계락(還界樂)」이 있다. 농(弄)이나 편 또는 엇의 특징은 대개 밝혀지고 있으나, 낙의 특징은 아직 잘 구명되어 있지 않다.

참고문헌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현금오음통론(玄琴五音統論)』
『삼죽금보(三竹琴譜)』
『슬롯 사이트 제작원류(歌曲源流)』
『슬롯 사이트 제작전통음악의 연구(韓國傳統音樂의 硏究)』(장사훈, 보진재(寶晉齋), 1975)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사이트 제작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사이트 제작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사이트 제작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