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덕경(德卿), 호는 병암(炳菴). 아버지는 김상억(金相億), 어머니는 남양홍씨(南陽洪氏) 홍찬(洪瓚)의 딸이다. 학문이 거의 성숙한 뒤에 전우(田愚)의 문인이 되었다.
가세가 극도로 곤궁하여 주경야독을 하였으나 워낙 독실하게 공부하여 임헌회(任憲晦)·신응조(申應朝)·송병선(宋秉璿)·박운창(朴芸牕)·김계운(金溪雲) 등 당시 아리스 토크 랏 슬롯들에게 모두 허통(許通) 받았으며 성리학을 더욱 공부하기 위하여 한 살 연상인 전우에게 3번씩이나 찾아가 사제(師弟)관계를 맺었다.
이기설(理氣說)과 예학(禮學)에 특히 주력하였으며 이항노(李恒老)를 중심한 벽문아리스 토크 랏 슬롯(檗門學者)들의 주리설(主理說)과 인물성이설(人物性異說)을 주장하는 한원진(韓元震)계의 학설을 비판, 논변하는 반면,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과 간재(艮齋)의 학설을 적극 지지하는 학문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 정부의 개화정책(開化政策)과 천주교에 대하여 적극 반대하는 시국관을 갖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