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파 온 슬롯 김준거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무신정변과 관련된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199년(신종 2)
주요 관직
황주목사
관련 사건
무신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후기 무신정변과 관련된 무신.
개설

평장사(平章事) 김영존(金永存)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170(의종 24) 정중부(鄭仲夫) 등이 무신난을 일으킨 후 무신 간의 정권쟁탈이 자행될 무렵, 그 아우 던파 온 슬롯광(金俊光)과 함께 딴 뜻을 품었다는 이유로 황주목사로, 던파 온 슬롯광은 상주목사로 각각 좌천되었다.

여기에 불만을 품고 직무를 돌보지 않고 용사를 모아 항상 사냥에만 전념하였다. 이때 던파 온 슬롯거와 가장 친밀히 지내던 박진재(朴晉材)의 문객인 신기지유(神騎指諭) 이적중(李勣中)과 비밀히 통하여 반란을 일으킬 것을 약속하였다.

당시 안변부(安邊府)에 나가 있던 던파 온 슬롯광에게 연락하여 황주 백성들 중에서 가장 날래고 힘센 사람들을 거느리고 개경에 잠입하였다.

그러나 장인인 낭장(郎將) 김순영(金純永)이 이 사실을 알고 최충헌에게 밀고함으로써 일당과 함께 잡혀 사형을 당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던파 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던파 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던파 온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