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 슬롯 김주천 ()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한찬 관등을 역임한 관리.
인물/전통 인물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윈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한찬 관등을 역임한 관리.
생애 및 활동사항

태종윈 슬롯왕의 6대손이며 무염(無染)의 할아버지로서 관등은 한찬(韓飡: 대아찬)에 이르렀다.

최치원(崔致遠)이 찬(撰)한 「무염화상비명병서(無染和尙碑銘幷序)」에 의하면 “무염대사는 달마대사(達磨大師)의 10세손으로 속성은 김씨이니 윈 슬롯대왕(武烈大王)이 8대조가 되며, 할아버지는 주천(周川)으로 골품은 진골이요, 위계(位階)는 한찬이다.

고조부와 증조부는 모두 출장입상(出將入相)한 가문으로 알려졌으며, 아버지는 범청(範淸)으로 진골에서 한 등급 낮아진 득난(得難)이다.”라고 하고 있다. 여기서 주천은 윈 슬롯왕의 6세손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강릉김씨의 시조인 주원(周元)도 태종윈 슬롯왕의 6세손으로 주천과 주원은 형제항렬이 된다.

한편, 주원의 아들 김헌창(金憲昌)이 822년(헌덕왕 14) 3월 모반을 일으켰다가 잡혀죽으니 윈 슬롯의 아들 범청도 불문에 귀의하였다고 한다. 범청이 진골에서 6두품 득난으로 품계가 강등된 것도 이 때문으로 추측된다.

한편, 주원은 태종윈 슬롯왕의 6대손으로 선덕왕이 죽은 뒤 원성왕에게 왕위를 빼앗긴 바 있으며, 헌창의 모반사건도 결국 선대의 왕위찬탈의 원한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모반사건은 원성왕계의 하대 왕실에 대하여, 중대 윈 슬롯왕계가 연합하여 도전하였던 사건이 아닌가 생각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최문창후전집(崔文昌侯全集)』(최치원,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1972)
『朝鮮金石總覽』上
「신라하대(新羅下代)의 왕위계승(王位繼承)과 정치과정(政治過程)」(이기동, 『신라골품제사회(新羅骨品制社會)와 화랑도(花郞徒)』, 윈 슬롯연구원, 1980)
「신라육두품연구(新羅六頭品硏究)」(이기백, 『성곡논총(省谷論叢)』 2, 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윈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윈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윈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