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 텍 슬롯 김재로 묘 (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인천광역시 남동구에 있는 조선후기 문신 김재로의 무덤.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김재로 묘(金在魯 墓)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봉토묘
지정기관
인천광역시
종목
인천광역시 시도기념물(1990년 11월 09일 지정)
소재지
인천 남동구 운연동 산 64-13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플레이 텍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인천광역시 남동구에 있는 조선후기 문신 김재로의 무덤.
개설

김재로 플레이 텍 슬롯는 정경부인(貞敬夫人) 청송 심씨와의 합장묘로, 인천광역시 남동구 운영동 만의골 소래산에 위치한다. 그 인근에는 정조대에 영의정을 지낸 아들 김치인(金致仁)의 플레이 텍 슬롯도 있다. 1990년 11월 9일에 인천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내용

김재로(金在魯, 1682~1759)는 숙종과 영조대에 활약한 문신이자 정치가이다. 정파적으로는 노론(老論)의 영수 역할을 하였다. 영조의 신임이 매우 깊었는데, 그가 죽자 영조가 직접 그의 집에 찾아가 조문을 플레이 텍 슬롯, 제문(祭文)도 손수 지었을 정도였다. 본관은 청풍(淸風)이며, 시호는 충정(忠靖)이다. 저술로는 『천의소감언해(闡義昭鑑諺解)』, 『예기보주(禮記補註)』, 『금석록(金石錄)』 등이 유명하다.

운연동 만의골 소래산(蘇萊山) 등산로 입구에서 200미터 올라가면 청풍김씨(淸風金氏)의 묘역이 있는데 그의 무덤은 그 가운데 가장 윗편에 위치하고 있다. 플레이 텍 슬롯 뒤로 곡장(曲墻 : 무덤 뒤에 둘러싼 작은 담)을 두르고 봉분에는 호석(護石)을 둘렀으며, 봉분 앞으로 상석(床石)과 향로석(香爐石)이 있고 오른쪽으로는 묘갈이 있다.

묘갈은 높이 196㎝, 너비 64㎝, 두께 23㎝인데, 뒷면과 좌 · 우면에는 그의 관력과 생애가 정리된 음기가 있다. 이는 1761년(영조 37)에 건립된 것으로 남유용(南有容)이 비문을 지었고, 서무수(徐懋修)가 해서로 글씨를 썼다. 플레이 텍 슬롯 앞 국가유산 안내판 하부에는 또 다른 표지석이 위치하고 있다. 표지석에는 1982년 8대손 김지영(金智永)이 중수했다고 기록했다. 이 기록으로 판단하건데 주요 석물이 이때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장대석(長臺石)으로 구분한 아래의 계절(階節 : 무덤 앞에 평평하게 만들어 놓은 땅) 정면으로 장명등(長明燈)이 있고 좌우로 망주석(望柱石)과 석양(石羊)이 한 쌍씩 배치되어 플레이 텍 슬롯. 오른쪽 석양의 주둥이가 일부 훼손되어 플레이 텍 슬롯.

참고문헌

『인천의 금석문』(인천시립박물관, 2003)
『인천시사』(인천광역시, 1993)
「김재로 『금석록』의 구성과 그 특징」(구자훈·한민섭, 『플레이 텍 슬롯실학연구』 21, 2011)
「조선후기 인천지역 학인의 분포와 성향」(이근호, 『인천학연구』 8, 2008)
플레이 텍 슬롯금석문종합영상정보시스템(gsm.nricp.go.kr)
국가유산청(www.khs.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플레이 텍 슬롯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플레이 텍 슬롯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