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돈 따는 꿈 김인문 묘 ( )

경주 김인문 묘 후면
경주 김인문 묘 후면
고대사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장수 김인문의 무덤. 원형봉토분.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김슬롯 머신 돈 따는 꿈묘(金仁問墓)
분류
유적건조물/슬롯 머신 돈 따는 꿈/슬롯 머신 돈 따는 꿈/기타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기념물(1982년 08월 04일 지정)
소재지
경북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시 서악동 1006-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장수 김인문의 무덤. 원형봉토분.
개설

김슬롯 머신 돈 따는 꿈묘는 1982년 8월 4일에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이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은 선도산(仙桃山)에서 남쪽으로 뻗은 능선상에 자리하며 동서 양측은 낮은 계곡을 이루고 있다.

내용

봉분은 원형봉토분으로 밑지름이 26m, 높이는 6.5m이다. 무덤 앞의 왼쪽에는 김슬롯 머신 돈 따는 꿈묘비의 귀부(龜趺)가 남아 있다. 김슬롯 머신 돈 따는 꿈묘비는 1931년 12월 경주 서악동 서악서원 보수 때 북쪽 축대석으로 발견되었다. 크기는 높이 약 63㎝, 너비 94.5㎝, 두께 18㎝로 화강암 재질이며 현재 국립슬롯 머신 돈 따는 꿈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종래에는 태종무열슬롯 머신 돈 따는 꿈( 슬롯 머신 돈 따는 꿈 무열왕릉) 앞에 있는 두 개의 무덤을 두고 김슬롯 머신 돈 따는 꿈묘와 김양(金陽)의 묘로 서로 혼동하여 그 주장이 달랐다. 그런데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사기』 열전 김양전과 김슬롯 머신 돈 따는 꿈전에 각각 기록된 것처럼 김양묘는 태종무열왕릉에 가장 가까이에 있는 작은 딸린슬롯 머신 돈 따는 꿈〔陪葬〕형식으로 배치된 것이며, 김슬롯 머신 돈 따는 꿈묘는 그보다 좀더 남쪽에 있으면서 약간 봉분이 크고 왼쪽에 묘비의 귀부가 남아 있다고 보는 것이 정설이다.

묘비의 절반 이상은 결손되고 마멸이 심해 글자를 알아보기 힘들다. 다만, 비면에 남아 있는 조문흥대왕(祖文興大王) · 태종대왕탄미기공(太宗大王歎美其功) · 공위부대총관(公爲副大摠管) 등의 글귀로 미루어보아 김슬롯 머신 돈 따는 꿈묘비로 추정된다. 건립연대는 현존 비문에 나타나 있지 않다. 그러나 『삼국사기』 열전 김슬롯 머신 돈 따는 꿈전에는 효소왕이 695년(효소왕 4) 10월 27일에 김슬롯 머신 돈 따는 꿈을 태대각간(太大角干)으로 추증하고 경주의 서쪽 들판에 예로써 장례를 치렀다는 내용이 전하고 있어서 이 때 김슬롯 머신 돈 따는 꿈의 무덤과 함께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경주 서악동에는 태종무열왕릉을 중심으로 김양묘와 김슬롯 머신 돈 따는 꿈묘가 자리잡고 있는데, 당시 서원(西原)에는 김씨왕실의 장례지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김슬롯 머신 돈 따는 꿈이 유능한 왕족으로서 신라의 슬롯 머신 돈 따는 꿈통일에 큰 공훈을 세웠기 때문에 이곳에 성대하게 장례를 치른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사기(三國史記)』
『동경잡기(東京雜記)』
『신라 금석문의 현황과 과제』(슬롯 머신 돈 따는 꿈시 신라문화선양회·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23, 2002)
『고분연구』(강인구, 학연슬롯 머신 돈 따는 꿈사, 2000)
「近時發見の新羅金石文」(末松保和,『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1954)
「新羅金仁問墓碑の發見」(藤田亮策,『靑丘學叢』7, 1932)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슬롯 머신 돈 따는 꿈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슬롯 머신 돈 따는 꿈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