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이 슬롯 김용배 ()

국방
인물
한국전쟁 당시 강원도 양구의 토평리지구전투에 참전한 군인.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1년
사망 연도
1951년 7월 2일
출생지
경상북도 문경시 호서남면 통덕리
관련 사건
양구군 북면 토평리지구전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다복 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한국전쟁 당시 강원도 양구의 토평리지구전투에 참전한 군인.
개설

경상북도 문경군 호서남면 통덕리 665번지에서 출생했다. 다복 이 슬롯전쟁 발발시 중령으로 참전하여 여러 전투에서 공훈을 세우고, 1951년 7월 2일 양구군 북면 토평리지구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다복 이 슬롯전쟁 발발 당시 김용배 중령은 제7연대 제1대대장으로 춘천 북방 지내리로 나아가 적의 남진을 막았으나, 적 전차 앞에서 패퇴하고 말았다. 그리하여 제1대대는 7월 4일에 진천-무극리-충주선으로 물러나 지연작전을 전개하였는데, 이 때 횡성·여주를 거쳐 무극리 방면으로 진출한 북한 제1사단의 1개 정찰 소대를 음성읍 부근에서 섬멸하는 전과를 올렸다.

그 뒤 7월 14일부터는 문경전투에서 전과를 올렸으며, 군위 남방과 대구 동북방의 신령지구에서도 격렬한 전투를 치렀다. 그리고 아군의 북진시에는 가평·화천을 거쳐 평강·양덕 방면으로 진격다복 이 슬롯으며, 10월 24일에는 희천을 점령한 다음 한만국경의 초산까지 진출다복 이 슬롯다.

이때 예상치 못했던 중공군이 개입하여 전황이 불리하게 되었으나, 개천에서 평양 서변리를 거쳐 동두천-용인군 백암리에 이르기까지 작전에 계속 참가하여 적의 남침을 저지다복 이 슬롯다.

그러나 1951년 6월 12일에는 제7사단 제5연대장으로 승진된 후 633-731고지 점령의 임무를 부여받고 격전 끝에 적 전선의 일부를 탈환다복 이 슬롯으나, 7월 2일 양구군 북면 토평리지구전투에서 중공군 5군단 1개 연대와 전투중 적 포격에 의해 전사다복 이 슬롯다. 전사 후 준장으로 추서되었으며, 태극무공훈장이 수여되었다.

참고문헌

『38도선 초기다복 이 슬롯』-중동부전선편-(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2)
『신령·영천다복 이 슬롯』(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4)
『다복 이 슬롯전쟁사』 6(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76)
『자유민에 전해다오』 제2집(국방부, 1955)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다복 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다복 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다복 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복 이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