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문경군 호서남면 통덕리 665번지에서 출생했다. 다복 이 슬롯전쟁 발발시 중령으로 참전하여 여러 전투에서 공훈을 세우고, 1951년 7월 2일 양구군 북면 토평리지구전투에서 전사하였다.
다복 이 슬롯전쟁 발발 당시 김용배 중령은 제7연대 제1대대장으로 춘천 북방 지내리로 나아가 적의 남진을 막았으나, 적 전차 앞에서 패퇴하고 말았다. 그리하여 제1대대는 7월 4일에 진천-무극리-충주선으로 물러나 지연작전을 전개하였는데, 이 때 횡성·여주를 거쳐 무극리 방면으로 진출한 북한 제1사단의 1개 정찰 소대를 음성읍 부근에서 섬멸하는 전과를 올렸다.
그 뒤 7월 14일부터는 문경전투에서 전과를 올렸으며, 군위 남방과 대구 동북방의 신령지구에서도 격렬한 전투를 치렀다. 그리고 아군의 북진시에는 가평·화천을 거쳐 평강·양덕 방면으로 진격다복 이 슬롯으며, 10월 24일에는 희천을 점령한 다음 한만국경의 초산까지 진출다복 이 슬롯다.
이때 예상치 못했던 중공군이 개입하여 전황이 불리하게 되었으나, 개천에서 평양 서변리를 거쳐 동두천-용인군 백암리에 이르기까지 작전에 계속 참가하여 적의 남침을 저지다복 이 슬롯다.
그러나 1951년 6월 12일에는 제7사단 제5연대장으로 승진된 후 633-731고지 점령의 임무를 부여받고 격전 끝에 적 전선의 일부를 탈환다복 이 슬롯으나, 7월 2일 양구군 북면 토평리지구전투에서 중공군 5군단 1개 연대와 전투중 적 포격에 의해 전사다복 이 슬롯다. 전사 후 준장으로 추서되었으며, 태극무공훈장이 수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