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 슬롯 금일김공시집 ()

목차
관련 정보
김양석의 금일김공시집 중 표지
김양석의 금일김공시집 중 표지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김양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버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양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책. 석인본. 1933년 손자인 재(梓)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최병심(崔秉心)·황찬규(黃瓚奎)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재의 발문이 버 슬롯.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버 슬롯.

시 376수, 묘표 1편, 부록으로 가장(家狀)·행장·묘지명·묘갈명, 끝으로 『춘정시집(春汀詩集)』에 시 42수가 수록되어 버 슬롯.

이 책은 시가 대부분으로 여행 중의 감회나 계절적인 감상을 읊은 것이 많다. 「성환역(成歡驛)」에서는 마을의 정경과 주인집의 인정을 묘사하고 있으며, 「도한강(渡漢江)」과 「도금강(渡錦江)」에서는 모두 낙일(落日)을 배경으로 행인의 쓸쓸한 여수를 읊고 버 슬롯.

「매대곡봉박우남사(梅臺谷蓬朴友南社)」·「추회(秋懷)」·「추흥(秋興)」 등은 친구와 만나고 헤어지는 감회를 노래한 것으로, 주위의 산색(山色)이나 물소리마저도 그의 괴로운 심회에 투영되어 묘한 조합을 이루고 버 슬롯.

「제석(除夕)」·「원조(元朝)」 등에서는 늙음에 대한 인생의 우수를 표현하였고, 「국추지십이야(菊秋之十二夜)」에서는 가을밤의 정적 속에 거문고의 음률로 고독을 달래며 세상의 시비를 초월하려는 심경을 표현하였다. 묘표는 그의 어머니에 대한 것이다.

집필자
이민식(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버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버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버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버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