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꽁 머니 금릉집 ()

금릉집
금릉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남공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꽁 머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남공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5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15년(순조 15) 저자가 편집·간행하였다. 권수에 중국인 조강(曺江)·이임송(李林松)의 서문과 진희조(陳希祖)의 인(引)이 있고, 이어 저자의 자서(自序)가 슬롯 꽁 머니.

서지적 사항

24권 12책. 활자본. 규장각 도서 등에 슬롯 꽁 머니.

내용

권1∼4에 부(賦) 3편, 시 374수, 권5에 내제문(內製文) 34편, 외제문(外製文) 4편, 권6에 전장(箋狀) 19편, 계(啓) 3편, 권7∼9에 소차(疏箚) 65편, 권10에 서(書) 43편, 권11에 서(序) 34편, 권12에 기 25편, 권13·14에 제발(題跋) 26편, 잡저 30편, 제문 11편, 권15∼18에 묘비명 14편, 묘갈명 8편, 묘지명 21편, 묘표 14편, 권19에 행장 2편, 시장(諡狀) 3편, 권20에 일득록(日得錄), 권21에 시동자문(詩童子問), 권22에 독례록(讀禮錄), 권23·24에 서화발미(書畫跋尾) 120편, 보도(譜圖)등이 수록되어 슬롯 꽁 머니.

시에는 금강산에 구경 갔을 때, 그리고 1807년 동지사로 연경(燕京)에 갔을 때 보았던 경치·풍물 등을 읊은 기행시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이덕무(李德懋)·홍대용(洪大容) 등과 주고받은 화답류(和答類)도 상당수 슬롯 꽁 머니. 시는 대체로 아름다운 문체로 서정과 감회를 운치 있게 묘사하고 슬롯 꽁 머니.

권5의 내제문·외제문은 벼슬을 사는 동안 공직수행의 목적으로 작성한 제문·교서(敎書) 등의 글이다. 소는 대부분 사직소(辭職疏)이다. 서(書)에는 성대중(成大中)·김재련(金載璉)·심상규(沈象奎)·오윤상(吳允常) 등에게 보낸 편지가 슬롯 꽁 머니. 대개 문장과 저술에 관한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저자의 문학적 관심과 구양수(歐陽修)의 글을 매우 숭상했음을 알 수 슬롯 꽁 머니.

「일득록」은 문학·정사·인물·훈어(訓語) 등으로 나누어 교훈이 될 만한 일화나 사실 등을 여러 문헌에서 뽑아 기록한 것이다. 「시동자문」은 어린이의 작시(作詩)를 지도하기 위해 시의 원리와 작법 등을 문답식으로 알기 쉽게 설명한 글이다. 「독례록」에서는 「곡례(曲禮)」·「단궁(檀弓)」 등 『예기』 중의 일부 편목을 해설하고 슬롯 꽁 머니.

「서화발미」는 당(唐)·송(宋)·원(元)·명(明)·청(淸)의 중국 고서화(古書畫) 120편을 제목별로 우리나라 인사의 평(評)을 곁들여 간단히 설명한 제발(題跋)로, 고서화 연구에 참고 자료가 된다. 「보도」는 의령남씨(宜寧南氏) 시조로부터 저자 자신에 이르기까지의 세계(世系)와 각 인물별 사적을 약기하여 도표로 나타낸 것슬롯 꽁 머니.

이 책 이외에도 남공철의 시문집으로는 『영옹속고(穎翁續稿)』·『영옹재속고(穎翁再續稿)』와 『귀은당집(歸恩堂集)』 등이 슬롯 꽁 머니.

참고문헌

『영옹속고(穎翁續稿)』
『영옹재속고(穎翁再續稿)』
『귀은당집(歸恩堂集)』
관련 슬롯 꽁 머니 (4)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꽁 머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슬롯 꽁 머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슬롯 꽁 머니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